'팔만전자' 수성 어렵네… 증권가 "12단 HBM3E 안착 과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이레 기자
입력 2024-06-24 06: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기로에 서 있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인공지능(AI) 서버 인프라 투자 붐에 따라 관련 고용량 메모리 특수는 지속될 전망"이라며 "삼성전자도 HBM3E, 128GB 고용량 D램 매출을 언제 본격적으로 늘릴 수 있느냐, 그리고 현재 TSMC가 독점하고 있는 AI칩 수주 확보 여부가 관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12단은 메모리 3사 모두 6월게 내부 인증 후 8~9월께 고객 인증이 예상된다"며 "12단은 블랙웰 울트라로 불리는 B300용으로 이 제품은 내년 3분기 양산 예정이고, 따라서 HBM은 8~9월 인증을 거쳐 올해 말 일부 납품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삼성전자 주가가 기로에 서 있다. '팔만전자' 타이틀을 회복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이 매도에 나서며 다시 큰 폭으로 밀렸다. 증권가에서는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12단 HBM3E의 엔비디아 공급 여부가 향후 주가 향배를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 21일 8만원에 정규 거래를 마쳤다. 직전 거래일인 이달 20일 종가 대비 1.96% 하락했다. 이후 시간 외 단일가 매매(오후 4~6시)에서 0.12% 하락해 7만9900원을 기록했다. 8만원 선을 되찾은 지 이틀 만에 7만원대로 내려섰다.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연일 상향 조정하고 있지만 삼성전자에 대한 눈높이 조절은 없다. 다만, 향후 예상 실적과 관련해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고 연초 이후 주가가 제자리를 지켜 상승 여력 자체는 크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이번 2분기 연결 기준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3조3370억원, 8조1998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22%, 1126.5% 급증한 수치다. 2분기 뿐 아니라 실적 성장세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08조8598억원, 38조9128억원으로 2023년보다 19.28%, 492.55% 늘 것으로 예상된다.

실적에 비해 주가가 오르지 않고 있는 상황은 엔비디아에 공급할 차세대 HBM 메모리 때문이다. 증권가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현재 12단 HBM3E에 대한 엔비디아의 품질검증(퀄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달 내로 테스트를 통과한 후 오는 3분기 중 승인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예정대로라면 연말부터 납품을 개시해 SK하이닉스보다 먼저 5세대 HBM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인공지능(AI) 서버 인프라 투자 붐에 따라 관련 고용량 메모리 특수는 지속될 전망"이라며 "삼성전자도 HBM3E, 128GB 고용량 D램 매출을 언제 본격적으로 늘릴 수 있느냐, 그리고 현재 TSMC가 독점하고 있는 AI칩 수주 확보 여부가 관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12단은 메모리 3사 모두 6월게 내부 인증 후 8~9월께 고객 인증이 예상된다"며 "12단은 블랙웰 울트라로 불리는 B300용으로 이 제품은 내년 3분기 양산 예정이고, 따라서 HBM은 8~9월 인증을 거쳐 올해 말 일부 납품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