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中 바이트댄스, 브로드컴 손잡고 첨단 AI 칩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은솔 기자
입력 2024-06-24 16:3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운영하는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가 미국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업체 브로드컴과 협업해 첨단 인공지능(AI) 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바이트댄스는 핵심 플랫폼인 '틱톡'과 챗GPT와 유사한 챗봇인 두바오(Doubao)를 구동하는 데 알고리즘을 강화하기 위해 AI 칩 수급에 힘쓰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아울러 바이트댄스는 미국의 대중국 AI 제재에 미리 엔비디아 칩을 비축해 놓았다고 또 다른 소식통은 전했다.

  • 글자크기 설정
  • TSMC 위탁생산 맡아...연내 생산 어려울듯

  • 美 반도체 규제 통과...中·美 업체 5나노급 '첫' 협업 소식

  • 바이트댄스, 틱톡·챗봇 구동에 AI 칩 필요...엔비디아 칩도 확보

반도체 설계업체 브로드컴왼쪽과 바이트댄스 로고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반도체 설계업체 브로드컴(왼쪽)과 바이트댄스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운영하는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가 미국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업체 브로드컴과 협업해 첨단 인공지능(AI) 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두 업체가 5나노미터(1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이상의 첨단기술을 포함한 맞춤형 반도체를 개발 중이라며 생산이 이뤄진다면 바이트댄스가 첨단 반도체를 조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대만의 TSMC가 이 반도체의 위탁생산을 맡을 예정이다.

5나노미터 칩은 미국의 대중국 수출제한에 걸리지 않아 별문제 없이 협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022년 미국이 최첨단 반도체에 대한 수출 통제 조처를 한 이래 중국과 미국 기업 간 5나노미터 이상의 첨단 기술이 포함된 반도체 개발 협력 소식이 나온 적은 없다. 일반적으로 양국 기업 간 협업은 이보다 뒤떨어진 기술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해당 반도체는 현재 설계 작업 중이며, 설계 후 제조를 시작하는 '칩설계완료'(테이프아웃) 단계에 들어서지 못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다만 아직 개발 단계가 남아 있어 연내 신규 칩 생산이 이뤄지진 않을 전망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바이트댄스와 브로드컴, TSMC 측은 해당 소식에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

바이트댄스는 글로벌 빅테크들과 마찬가지로 생성형 AI 분야에 대대적 투자가 필요하지만, AI 칩 수급이 쉽지 않은 형편에 놓였다.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은 미국의 수출 통제로 중국 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화웨이 등 중국 AI(인공지능) 가속기 제조업체들이 첨단기술 개발에 뛰어들어 미국과 경쟁 구도를 구축하고 있다.

바이트댄스는 브로드컴과 2022년부터 파트너십을 맺고 서버와 네트워킹 장비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관계를 이어왔다. 바이트댄스는 핵심 플랫폼인 '틱톡'과 챗GPT와 유사한 챗봇인 두바오(Doubao)를 구동하는 데 알고리즘을 강화하기 위해 AI 칩 수급에 힘쓰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아울러 바이트댄스는 미국의 대중국 AI 제재에 미리 엔비디아 칩을 비축해 놓았다고 또 다른 소식통은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