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한달 만에 '낙관' 전환…기대인플레 0.2%p↓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민지 기자
입력 2024-06-25 06: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3고 현상(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억눌렸던 소비심리가 한달 만에 다시 낙관으로 돌아섰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의미하는 물가인식은 3.7%로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0%로 전월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 글자크기 설정
  • 한국은행, 6월 중 소비자동향조사 발표

  • 소비자심리지수 100.9…전년比 2.5p↑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3고 현상(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억눌렸던 소비심리가 한달 만에 다시 낙관으로 돌아섰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소폭 내려 3.0%에 안착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 중 소비자심리지수는 100.9로 전월보다 2.5포인트 상승했다. CCSI는 올 들어 내내 100선을 웃돌다가 지난달 처음으로 100 아래로 내려왔지만 이달 들어 다시 반등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23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5월과 비교해 금리수준전망(98)은 주요국 정책금리 인하, 미국 소비자물가(CPI) 예상치 하회에 따른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시장금리가 하락하며 6포인트 하락했다. 

물가수준전망(146)도 농산물, 공공요금 등의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1포인트 내렸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의미하는 물가인식은 3.7%로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0%로 전월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1∼2월 3.0%에서 3월 3.2%로 올랐다가 4월 3.1%, 5월 3.2%를 기록하는 등 3%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기대인플레가 2%대를 기록한 것은 2022년 3월(2.9%)이 마지막이었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7주째 기름값이 내려가는 등 생활물가 내림세가 기대심리에 반영되고는 있지만 누적 상승분이 쌓인 만큼 여전히 체감물가가 높다고 느끼는 것 같다"며 "앞으로의 물가 흐름, 국제 유가, 주요국 정책금리 변화 등 불확실성 요인에 따른 흐름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가격전망(108)은 7포인트 급등했다. 주택가격전망CSI는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대출 규제 강화에도 전국 아파트매매가격 하락세 둔화, 아파트 매매 거래량 증가 등의 영향을 받았다.

황 팀장은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가 있는데도 서울이나 수도권 중심으로는 4월부터 상승 전환됐다"며 "아파트 거래량과 전세가격이 오르면서 '상승' 응답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