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윤 대통령 지적에 "북·러 간 합의, 침착하게 받아들이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은솔 기자
입력 2024-06-25 15:38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러시아 정부가 북·러 밀착에 경계하는 한국 정부에 대해 양국 간 체결된 이번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게 아니다"라며 "차분히 받아들이라"는 메시지를 25일(이하 현지시간) 내놨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이날 공개된 러시아 매체 리아노보스티와 인터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북 간 체결한 북·러 조약과 관련해 "우리는 한국이 새 협의를 이해심을 갖고 수용하길 기대한다"며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해 침착한 접근 방식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언급은 북·러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조약 체결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강경한 발언을 내놓은 뒤 나온 것이다.

  • 글자크기 설정
  • 윤 대통령 "북·러 조약, 시대착오적 행동" 발언에 답변

  • 러 외무차관 "한국 겨냥 아니야"..."차분히 수용하길"

  • 북·러, 답방 언급 '훈훈'...우크라 무기 지원엔 '신중론'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 사진이타르타스연합뉴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 [사진=이타르타스·연합뉴스]

러시아 정부가 북·러 밀착에 경계하는 한국 정부에 대해 양국 간 체결된 이번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게 아니다"라며 "차분히 받아들이라"는 메시지를 25일(이하 현지시간) 내놨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이날 공개된 러시아 매체 리아노보스티와 인터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북 간 체결한 북·러 조약과 관련해 "우리는 한국이 새 협의를 이해심을 갖고 수용하길 기대한다"며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해 침착한 접근 방식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언급은 북·러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조약 체결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강경한 발언을 내놓은 뒤 나온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열린 6·25전쟁 발발 74주기 기념사 도중 북·러 조약 체결에 관해 "역사의 진보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행동"이라며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루덴코 차관은 북·러 간 조약 성격이 '방어적'이라고 해명했다.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그는 해당 조약이 "한국이나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면서도 "(이번) 조약은 한반도와 이 지역 전체의 문제를 군사적 수단으로 해결하기를 바라거나 그럴 계획이 있는 국가들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라고 발언했다. 러시아의 위협은 한국을 향한 게 아닌 완전히 대치 중인 서방을 향한 것임을 강조한 셈이다.

앞서 북·러가 체결한 조약 내용에 유사 시 군사 투입 등의 내용이 들어가자, 한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재검토라는 '강경책'을 꺼내 들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아주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맞대응을 예고했다. 물론 푸틴 대통령은 지난 20일 순방 결산 기자회견에서 "조약상 군사적 원조는 침공이 있을 때 적용되므로 한국은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문제를 일축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루덴코 차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재방문 시점도 시사했는데, 김 위원장은 "모든 필요한 조건이 맞을 때"라고 언급했다. 그는 러시아 방문에 앞서 조율이 필요한 문제 협의를 마치고 합의를 도출할 기반을 마련했을 때 방문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19일 북한 국빈 방문 중에 "다음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기를 바란다"며 김 위원장에게 초청 의사를 전했다. 회담 후에도 그는 모스크바 답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이후에도 푸틴 대통령은 여러 성명과 북한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을 통해 김 위원장에게 방러 초청 의사를 전달해 왔다. 한국이 거듭해 북·러 밀착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양국은 아랑곳 않고 답방을 이어갈 뜻을 드러낸 것이다. 김 위원장이 모스크바 답방을 한다면 양 정상은 2019년, 2023년, 지난주 회담에 이어 네 번째로 만나게 된다.

한편 러·한 관계 악화 시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한국이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한 것을 경고했다고 러 스푸트니크 통신이 24일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 측근인 그는 이날 텔레그램에 한국이 양국 조약에 "호들갑을 떨고 있다"며 "한국이 대러시아 제재를 경솔하게 고수한다면 양국 관계가 더 악화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양국 긴장이 더 치솟는다면 러시아가 북한에 더 많은 기술을 공급할 가능성도 언급됐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전문가가 주최한 24일 온라인 팟캐스트 라이브 방송에서 스콧 스나이더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은 한국의 우크라이나 무기 공급이 유럽 국가들의 마음을 살 수 있으나 "더 많은 (대북 기술) 공급이라는 푸틴의 보복 리스크가 있다"고 짚었다. 그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방안을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1개의 댓글
0 / 300
  • 우크라이나에 무기는 물론 파병까지 해서 적극적으로 세계의 자유민주체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전후복구 사업에 적극 진출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다져야 한다. 세상 어디에도 공짜는 없다.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