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AI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은 공공 부문의 AI 활용과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가속화하기 위해 진행된다. 지난해 4억원 규모의 예산을 올해 77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올해는 더욱 다양한 공공 분야에서 AI 활용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공공 범용, 공공 특화, 현안 해결의 3개 분야로 구분해 AI 근로감독관, 스마트 소방 안전, 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등 총 8개 과제를 선정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한다.
공공 범용 분야는 민원·행정 등 공공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향후 확산 가능한 서비스가 중심이다. 공공 특화 분야는 공공기관의 도메인 지식이나 특정 분야 데이터를 학습한 서비스 위주이며, 현안 해결은 의료·보건, 복지 등 사회현안 해결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구체적으로 공공 범용 분야에서는 △초거대 AI 기반 통합 연구개발 지원 서비스 △스마트 소방 안전 서비스 △생성 AI 기반 국방시설 건축 행정 지원 서비스, 공공 특화 분야에서는 △AI 근로감독관 지원 서비스 △청년 농업인 특화 서비스 △초거대 AI 기반 특허심사 지원 서비스, 현안 해결 분야에서는 △장애인 소통지원 초거대 AI 멀티모달 서비스 △초거대 AI 활용 느린학습자 조기발견 지원 서비스 등이 과제로 선정됐다.
고진 위원장은 "국가 간 총성 없는 AI 전쟁에서 우리는 세계 최초로 정부 전용 초거대 AI 모델을 구현해서 이 성공모델을 수출하는 것으로 승부수를 띄워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공공 부문에서 초거대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성공사례가 창출돼야 하는 만큼, 오늘 협약을 체결하는 8개 과제 하나하나가 우리 공공 부문 AI 서비스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 영역에 초거대 AI를 적극 도입하고 국산 초거대 AI 모델의 활용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우리나라가 AI G3 수준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우리 국민들이 공공 영역을 포함한 일상에서 초거대 AI 기반의 혁신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각 기관별로 최선을 다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