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가 재난문자서비스를 대폭 개선한다. 국민 피로도가 높다는 지적과 무관치 않다.
행정안전부는 14일 ‘재난문자방송 운영협의회’를 열어 재난문자 글자 수 확대, 중복·반복 발송 차단, 문자방송체계 세분화 등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우선 재난문자를 중복·반복 발송하지 않도록 필터링 기능을 올 하반기에 도입한다. 중복·반복 발송에 따른 국민 피로감을 줄이고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둔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문자방송체계도 세분화한다. 현재는 재난문자방송을 통해 재난·민방공·실종 경보 등이 모두 발송된다. 이에 따라 운영 주체에 대한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사용기관별 역할과 책임을 고려해 문자방송체계를 현행 2종에서 4종으로 세분화하기로 했다. 이로써 유형에 맞는 정보를 더욱 신속·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재난문자 글자 수 제한도 현행 90자에서 157자로 늘린다. 재난 상황과 대피 방법, 유의사항 등을 상세히 담기 위해서다. 글자 수 확대는 올해 일부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하고 2026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한다.
행안부는 또 재난·방재, 정보통신, 언론·미디어, 한국어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해 정책 이행 완성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재난문자가 국민 안전을 위한 핵심 수단이 된 만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 서비스를 계속 개선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