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4일 새벽 국회 계엄 해제 의결 직후 국회 본관 일부 전력을 차단했다는 것이 확인됐다. 당시 계엄군 투입 목적이 '질서 유지'가 아닌 '국회 마비'라는 의혹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내란특위)' 소속 위원들은 16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 단전 시도 적발로 국회 기능 마비 작전의 실체가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2일 대국민담화 등에서 "만약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 했다면 단전, 단수 조치부터 취했을 것"이라며 국회 내 계엄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 차원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야당이 공개한 CCTV 영상 등에 따르면 12월 4일 새벽 0시 32분경 계엄군 17명은 국회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국회 본회의장과 연결된 로텐더홀로 향했지만 국회 직원 등의 거센 저항에 막혔다.
1시 1분경 국회가 비상계엄해제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킨 시점에 계엄군 중 7명은 승강기를 타고 지하 1층으로 내려갔다. 계엄군은 1시 6분 일반조명과 비상조명 차단기를 내려 지하 1층 전력을 차단했고, 단전 조치는 약 5분 48초간 지속됐다.
내란특위 위원들은 "만약 계엄군이 지하가 아닌 본관 전체의 전기를 끊었거나 그 조치가 조금 일찍 이뤄졌다면 국회는 어둠 속에서 혼란에 빠져 비상계엄을 해제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이래도 계엄군 투입이 '질서 유지 목적'인가"라고 윤 대통령에게 반문했다.
이어 "계엄군이 국회를 단전시킨 배경에는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던 윤석열의 지시가 있었다"며 "윤석열이 곽종근 전 특수전 사령관에게 '아직 의결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다, 국회 문을 부수고 인원들을 끌어내라'고 재촉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내란특위 야당 위원들은 수사기관에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이 단전·단수를 시도한 기관이 어디인지, 누구에게 지시했는지, 군·경·소방에 구체적 지시가 하달됐는지, 실제 단전 시도가 있었는지 명명백백하게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윤 대통령과 비상계엄을 옹호하는 세력에게 "국회 병력 투입이 '질서 유지 목적'이었다는 뻔뻔한 거짓말로 국민을 기만하지 말라"며 "지금이라도 국민 앞에 진실을 밝히고 사죄하는 것만이 역사 앞에 더 이상의 죄를 짓지 않는 길"이라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