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드 가격 하반기 회복… 메모리 감산 효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성진 기자
입력 2025-02-17 17: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국 보조금 정책, 낸드 재고 소진 가속"

삼성전자 9세대 V낸드 제품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9세대 V낸드 제품 [사진=삼성전자]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 수요 증가와 메모리 감산 효과로 낸드플래시 가격이 올 하반기 정상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올 1분기에도 낸드 시장은 공급 과잉으로 가격 하락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반기에는 시장 수요와 공급 균형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트렌드포스는 제조업체의 선제적인 감산, 스마트폰 부문의 재고 감소, AI 및 딥서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수요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트렌드포스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낸드 업계가 수요 약세와 공급 과잉으로 인한 이중 압박에 직면했다고 내다봤다. 올 1분기 낸드 가격은 10∼15%가량 떨어지고, 연간 낸드 수요 증가율도 30%에서 10∼15%로 하향 조정될 것으로도 예상했다.

이에 대응해 주요 업체들은 2023년 3분기부터 낸드 감산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렌드포스는 "미국 마이크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 키옥시아, 샌디스크 등 제조업체들이 (낸드) 감산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주로 가동률을 낮추고 공정 업그레이드를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감산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렌드포스는 이르면 올 2분기부터 공급업체 감산과 AI 수요가 낸드 가격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관측했다.

지난해 4분기 시행된 중국의 보조금 정책으로 스마트폰 판매를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낸드 재고 소진을 가속했다. 또 낸드 가격 하락이 둔화하면서 스마트폰 브랜드들이 2분기에 저가 재고를 구축해 낸드 수요를 더 촉진할 것이라는 게 트렌드포스의 분석이다.

엔비디아가 하반기에 블랙웰 시리즈 제품의 출하량을 늘릴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출하량 확대로 고부가 낸드 제품인 기업용 SSD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트렌드포스는 AI 서버 구축 비용을 절감시킨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관련 중소기업들이 30TB 이상의 저장장치를 선호하면서 기업용 SSD의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봤다.

이 밖에도 개인 컴퓨팅과 스마트폰에서 AI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고용량·고성능 PC SSD와 모바일 기기의 저장장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