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8월 15일 전후(戰後) 80주년을 맞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담화가 발표될 것인지 주목되는 가운데 집권 자민당 보수파를 중심으로 총리 담화에 반대하는 목소리 나오고 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19일 산케이신문은 “이시바 총리가 담화 발표에 의욕적으로 읽히는 발언을 하고 있어 자민당 내에서는 경계감이 확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새로운 담화를 내면 10년 전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를 통해 사죄 외교에 대해 종지부를 찍은 것에서 역행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산케이는 또 “리버럴(진보) 세력에서는 ‘사죄가 불충분하다’며 상이한 비판이 분출할 가능성이 있어 여름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두고 수면하에서 신경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베 전 총리는 2015년 전후 70주년 담화에서 “일본은 지난 대전(大戰)에서의 행동에 대해 거듭 통절한 반성과 진심 어린 사죄의 마음을 표명해 왔다”며 사죄의 숙명을 후대에는 물려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자민당 보수파들은 아베 전 총리의 이같은 언급을 근거로 추가 담화는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으로, 이시바 총리가 비교적 온건한 역사 인식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전후 80주년 담화에 대해 경계감을 높이고 있다.
산케이에 따르면 17일 자민당 ‘일본 명예와 신뢰를 확립하기 위한 특명위원회’ 등이 개최한 회의에서는 ‘전후 70주년 담화가 역사 인식 문제를 정치 문제화하지 않도록 마침표를 찍었다’는 인식이 공유됐다. 이 위원회의 아리무라 하루코 위원장은 “10년에 한 번 담화를 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추가 담화는 불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아베 정권에서 방위상을 지낸 이나다 도모미 의원도 18일 중의원(하원) 예산위원회에서 “역사 인식을 다시 외교 카드로 삼지 말라는 아베 전 총리의 생각을 헛되이 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전후 80주년 담화에 반대한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이에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담화를) 낼지 여부는 결정하지 않았다. 여러 관점에서 생각하고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