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올해 4월부터 인도·태평양 지역 우호국을 대상으로 자국산 무인기(드론) 제공을 확대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0일 보도했다. 민간과 군사의 ‘이중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시장에 공여함으로써 부상하고 있는 중국산 무인기를 대체하는 한편 자국 산업의 육성으로 연결짓겠다는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우호국에 무상으로 무인기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 안전보장 능력강화 지원’(OSA) 제도를 활용하기로 했다. OSA는 비군사 분야로 한정한 기존 공적 개발 원조(ODA)와 달리 방위장비 지원에 초점을 맞춘 제도다.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관련 예산은 전년도 대비 60%가량 늘어난 81억엔(약 774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인기는 소형부터 대형까지 종류가 많고 대당 가격도 약 100만원에서 수천 만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일본 정부는 공여 대상국의 요청을 바탕으로 제공 대수를 결정하기로 했다.
실행을 위한 준비 작업은 이미 시작됐다. 일본 정부는 이달 초에 이미 스바루와 야마하발동기 등 80여개 기업과 단체가 소속된 ‘일본 산업용 무인항공기 공업회’ 등에 제품 정보를 요청했다. 이후 이를 정리한 책자를 발간해 OSA 대상 국가에 제시하게 된다.
닛케이는 일본 정부가 무인기 제공에 주력하고 있는 배경으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산 무인기에 대한 불안으로 대체 수요가 있으며, 이같은 해외 공여를 통해 일본 산업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함이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적으로 무인기 수요가 늘고 있는 가운데 세계 무인기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독보적인 상황이다. 2023년 조사에서는 세계 민간용 무인기 제조 업체 가운데 중국 ‘DJI’가 점유율 1위이며, 상위 5개 업체 중 3개가 중국 업체다.
하지만 중국산 무인기가 취득한 데이터가 누출될 우려 등으로 중국산 이외의 대안을 요구하는 나라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으로선 자국 산업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일본의 무인기 관련 시장은 2023년 3854억엔(약 3조6823억원)에서 2028년에는 9054억엔(약 8조6507억)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제조 및 공급 업체는 다수 존재하는데 반해 대량 생산을 하지 않고 있어 규모를 키울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우호국을 대상으로 한 무상 공여를 통해 자국 제품의 우수성을 알려 구매로 연결하고, 정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지원을 통해 국내 산업 강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