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 Biz] '1조 달러 선물 보따리'에도 예외 없나…日, 트럼프 '자동차 관세'에 촉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희 도쿄(일본) 통신원
입력 2025-02-20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일 정상회담 '성공' 자평했지만...잇따른 트럼프발 관세에 당혹감

  • 일본 자동차 대미 수출 세계 1위, 25% 관세 적용시 日GDP 0.2% 하락

  • 日정부, 상호 관세 등 "일본 예외" 요청...日여론 61% "대항 조치 해야"

일본 기타큐슈항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본 기타큐슈항[사진=게티이미지뱅크]


1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발표를 예고한 수입 자동차 관세가 25% 수준일 것이라고 밝히면서 미·일 정상회담을 ‘성공’으로 자평하던 일본에서 당혹감이 확산하고 있다. 25% 관세는 다음 달 12일부터 철강, 알루미늄에 부과되는 것과 같은 ‘관세 폭탄’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기회 때마다 “일본을 예외로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반면 일본 여론은 트럼프발 관세 부과 조치에 “맞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지난 7일 백악관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미 투자액을 1조 달러(약 1458조원)로 늘리겠다고 약속하는 등 미국에 선물 보따리를 안겼다. 일본의 2023년 대미 투자액은 약 7830억 달러로 대미 투자국 1위를 기록했는데, 이시바 총리는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계기로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 기운이 강해지고 있다”는 립서비스와 함께 투자액을 늘리겠다고 제안했다.

이시바 총리는 또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하기로 했다면서 바이오에탄올과 암모니아 등을 수입하는 것에도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 수위를 낮추기 위해 대미 투자 확대와 미국산 에너지 수입이라는 선물을 내놓은 것이다.

정상회담 후 일본 언론과 인터뷰를 가진 이시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관세에 대한 구체적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그러자 일본 정부 내에선 ‘강요’를 피했다거나 ‘성공’했다는 안도의 목소리가 잠시나마 들려오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후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상호 관세 및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연달아 거론하면서 일본 내에서도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미국 측이 일본에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 자동차에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그 타격은 막대하다. 일본에서 미국으로의 수출액은 2024년에 21조2951억엔(약 202조원)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 승용차와 트럭 등 자동차로 6조2610억엔(약 59조원)을 차지한다. 전체 수출의 28.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이 자동차 부품 1조2312억엔(약 12조원)으로 전체의 5.8%를 차지한다.

현재 일본 자동차에 부과되고 있는 미국 관세는 2.5%로,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관세가) 추가로 인상될 경우 관련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짚었다. 또한 닛케이는 “대상국 등 세부 사항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만일 일본차에 25%의 관세가 추가될 경우 일본의 실질 GDP(국내총생산)를 2년 동안 0.2% 정도 끌어내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아직까지는 본격적으로 관세를 시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그의 진의를 예단하기 힘든 부분도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그들(기업들)이 미국으로 와서 여기에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없기 때문에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며 관세 발효까지 시간을 둬 미국으로 생산거점을 옮기도록 유도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자동차 공격이 제일 큰 위협이라고 생각해 왔다”고 우려를 표하거나 “아직은 대상국을 알지 못하는 만큼 일단 지켜본 뒤 대응을 검토해 갈 것”이라는 신중한 반응이다.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는 등 협상의 여지를 남기고는 있지만 실제 공장 건설까지는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계속해서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분위기다.  

또한 공들여 성사시킨 미·일 정상회담에서 ‘좋은 인상’을 남기는 데 성공했다지만 ‘트럼프발 관세‘에는 예외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 커지면서 일본 정부는 기회가 될 때마다 ‘일본 배제’를 요청하고 있다.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한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은 15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철강·알루미늄 관세 및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일본을 제외해 달라고 요구했고, 자동차 관세 관련 의견도 전달했다.

반면 일본 여론은 트럼프발 관세에 “맞대응해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이 지난 15∼16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1%가 트럼프발 관세 조치 대상에 일본이 포함될 경우 “대항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답했다. 아사히신문 역시 같은 기간 설문조사를 한 결과, 트럼프발 관세 조치로 인한 일본 경제 악영향에 “불안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가 82%에 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