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바흐 S680 타보니…자동차에서 비즈니스석을 느끼다

벤츠 마이바흐윤선훈 기자
7일 서울 한성자동차 청담전시장 앞에 주차된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 680 4 매틱(MATIC)'의 모습. [사진=윤선훈 기자]
비행기 비즈니스석을 살면서 딱 두 번 타 봤다. 미국 출장을 갔을 때는 운좋게 오버부킹이 되면서 얼떨결에 비즈니스석을 탔고, 싱가포르 여행을 갔을 때는 야금야금 모은 마일리지를 활용해 이코노미석에서 좌석을 업그레이드했다. 장거리 비행은 늘 피곤하지만 적어도 비즈니스석을 탈 때만큼은 피로가 확실히 경감됐다. 좌석 자체가 널찍하고 등받이 조절도 이코노미석에 비해 자유롭다 보니 이코노미석보다는 훨씬 편안할 수밖에 없다.

자동차를 타면서 비즈니스석과 같은 편안함을 느끼기는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벤츠의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 680 4 매틱(MATIC)'은 자동차에서 비즈니스석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 기자는 지난 7일 서울에서 경기 양평군 양서면까지 왕복 두 시간여를 오가는 차량에 동승하며 승객 입장에서 승차감을 느껴 봤다. 흡사 비즈니스석처럼 업무용 공간으로 활용해 보기도 했다.
 
벤츠 마이바흐윤선훈 기자
차에 탑승했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띈 널찍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의 좌석. [사진=윤선훈 기자]
처음 문을 열고 차에 탑승하면 리클라이닝 기능이 포함된 시트가 널찍하게 배치돼 있다. 앉자마자 안락한 탑승감이 느껴졌다. 여유 있는 공간부터 전체적인 좌석 디자인까지 비즈니스석을 연상케 했다. 실제 마이바흐 S 클래스의 무릎 공간은 일반 S-클래스 롱휠베이스 모델보다 휠베이스가 18센티미터(cm) 더 길고, 무릎 공간도 최대 12cm 더 증가했다. 여기에 차량 내부 전 영역에 고품질 나파 가죽이 적용돼 고급스러움도 함께 느낄 수 있다.

본격적인 주행에 들어가자 안정적이면서도 흔들림 없는 승차감이 확연히 느껴졌다. 도심을 벗어나 국도를 타자 시속 80~90km까지 속도가 올라갔지만 승차감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따금씩 나오는 과속방지턱을 지날 때도 의식을 하지 않으면 별다른 느낌을 받지 못할 정도였다. 
 
벤츠 마이바흐윤선훈 기자
운전석에는 각종 디스플레이가 적용돼 한눈에 주행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기능도 제공된다. [사진=윤선훈 기자]
이러한 장점은 '마이바흐' 시리즈에만 있는 전용 주행 모드인 마이바흐 모드를 적용하자 더욱 두드러진다. 마이바흐 모드는 주행 시 가속이 더욱 부드러워져 특히 뒷좌석 승객들이 한층 더 편안함을 느끼는 데 초점을 맞췄다. 벤츠는 이러한 부드러운 움직임에 대해 "차체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동력 공급으로 서스펜션의 편안함을 극대화해 훨씬 더 안락한 주행감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에 마이바흐 전용 에어매틱 서스펜션 시스템이 적용돼 노면의 충격까지 걸러낸다. 이렇다 보니 흔들림과 진동 등을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된다.
 
벤츠 마이바흐윤선훈 기자
뒷좌석에 앉아 노트북을 펼쳐 업무를 보는 모습. 다리를 100% 쭉 펼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널찍한 공간에서 편안하게 업무가 가능하다. [사진=윤선훈 기자]
시험 삼아 서울로 돌아오는 1시간 동안 뒷좌석에서 노트북을 펼친 채 밀린 업무를 보기도 했다. 좌석 자체가 워낙 널찍한 데다가 앞좌석과의 간격도 넓고, 등과 목받침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등을 한껏 젖힌 채 편한 자세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었다. 최대 43.5도까지 등받이 각도를, 50도까지 다리 받침대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에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VI)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마사지 기능은 덤이다.

업무 집중도도 꽤 높은 편이었는데 빠른 속도로 주행하더라도 소음이 거의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리 사이에 삽입된 필름 레이어인 IR 라미네이티드 글래스가 기본 적용됐고, 타이어 트레드 내부의 폼 소재가 흡음재 역할을 하는 저소음 타이어를 기본 장착해 타이어 공명음까지 최소화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다양한 주행 모드가 탑재되는 신차들의 특성상 편안함에 더욱 중점을 둔 마이바흐 모드 외에도 속도감에 초점을 맞춘 스포츠 모드, 승차감과 속도를 고루 신경쓴 컴포트 모드 등도 제공된다. 스포츠 모드의 경우 고속 주행을 할 때 경쾌한 주행이 가능하며 속도를 낼 때 운전석은 물론 뒷좌석에서도 한껏 힘을 느낄 수 있다.

업무 특성상 비행기는 물론 버스나 택시, 기차 등 각종 탈것에서 업무를 봐야 할 일이 많다. 움직이는 차체 위에서 노트북에 몰입하다 보니, 업무를 하다 보면 어지러움은 물론 심하게는 멀미가 느껴져 장시간 업무는 어렵다. 차에서 내린 뒤 후유증이 찾아올 때도 있다. 적어도 마이바흐 S 680을 타는 동안에는 그런 걱정을 할 필요 없이 일에 집중할 수 있었다. 왜 유수의 기업 C레벨들이 굳이 값비싼 돈을 들여 고급 자동차를 타고 다니려 하는지 실감할 것도 같았다. 브랜드 가치도 가치지만 차에서도 높은 업무 효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벤츠 마이바흐윤선훈 기자
7일 서울 한성자동차 청담전시장 앞에 주차된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 680 4 매틱(MATIC)'의 모습. [사진=윤선훈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