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이 반도체 산업을 해외에 뺏겼다고 주장하며 대만과 한국을 언급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은 점점 반도체 사업을 잃었고 이제 그것은 거의 전적으로 대만에 있다"며 "대만이 우리에게서 훔쳐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반도체 사업을 쉽게 보호할 수 있었다"면서 "이제 그건 전부 대만에 있으며 약간(little bit)만 한국에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산업을 놓고 미국과 대만을 함께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팹리스(설계)와 파운드리(위탁생산)로 이원화되어 있는 반도체 산업 구조에서 미국은 팹리스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만, 파운드리는 높은 인건비와 투자 악화 등으로 인해 주도권을 잃어버린 상황이다.
트럼프는 반도체 산업을 놓고 "모든 것에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 최대 파운드리인 대만 TSMC가 최근 1000억 달러(약 146조원) 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것을 언급하며 "미국이 반도체 산업의 큰 부분을 다시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바이든 행정부 때 대미 반도체 투자를 독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칩스법(반도체법)에 대해 "엄청난 돈 낭비"라고 재차 비판했다.
칩스법은 반도체 생산 설비를 미국 내에 만드는 기업에 5년간 총 527억 달러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텔, TSMC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관련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보조금 대신 관세로 압박하면 기업들이 미국 내에서 반도체를 생산하게 될 것이라며 지난 4일 의회 연설을 통해 칩스법 폐기를 촉구했다.
반도체 업계 전문가들은 칩스법이 폐기될 경우 미국 내 높은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한국·대만 기업들이 생산 인력을 미국에 파견해 공장을 운영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 칩스법에 따른 보조금을 바탕으로 2나노 이하 초미세 공정 조기 상용화에 나선 인텔이 관련 계획을 전면 수정해야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1
0 / 300
-
now**** 2025-03-08 11:15:43그래도 2찍들은 좋다고~~ 성조기 흔들고 좋아하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