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이철우 경북도지사 "산불진화 시스템 선진형으로 전면 개편하고 국가 산림대전환 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동=최주호 기자
입력 2025-03-30 19: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긴급주거시설 모듈러 공급...거주지 인근에 공급, 희망자 전원에게 공급 추진

이철우 경북지사가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산불 잔불 정리 및 피해 주민 지원 상황’에 대해 브리핑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이철우 경북지사가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산불 잔불 정리 및 피해 주민 지원 상황’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0일 경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산불 잔불 정리 및 피해 주민 지원 상황’에 대해 도민들에게 알리는 브리핑을 실시했다.
 
지난 3월 22일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이 안동, 청송, 영양, 영덕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28일에 주불 진화 완료, 현재 잔불 정리가 마무리 단계에 있는 만큼 산불 피해 후속 조치 추진 상황을 도민들과 공유하기 위해서다.
 
이 지사는 “이번 대형 산불로 인해 2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게 되어 매우 안타깝다”며 애도를 표하고,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산불 진화 체계를 완전히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와 선진 진화 체계를 갖추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북은 이번 초대형 산불로 인해 산불영향구역 4만5157ha, 주택 3369개 소 등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현재 호텔·기업연수시설 등 선진 주거 시설에 639명이 대피해 있으며, 3773명의 대피 인원이 긴급대피장소에 대피 중인 상황이다.
 
먼저, 잔불 정리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현재 영양 석보면 일대 2곳에 발생한 잔불을 정리하고 있으며 5개 시군에 3421명의 진화 인력과 헬기 59대를 투입해 오늘까지 잔불 정리를 마무리하고 뒷 감시 체계로 전환한다고 알렸다.
 
경북도는 보금자리를 잃은 피해 주민의 주거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이재민을 위한 주거, 구호, 의료 등 3중 지원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기관연수시설·호텔 등 선진 주거 시설 43개 소를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639명의 이재민들이 일시 거주 중에 있다.
 
대피 주민 구호에도 준 전시 수준의 총력을 다하고 있다. 매트리스, 담요, 외투 등 생필품 및 방한 물품은 불편함이 없도록 계속해서 지원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전 국민이 우리 지역을 돕고 있고 급식 봉사, 대피소 청소 등 수많은 봉사 단체와 봉사자 분들이 함께 아픔을 나누고 위로해 주심에 매우 고마움을 느낀다”며 감사를 표했다.
 
대피 주민의 몸과 마음을 돌보는 재난 현장 중심의 의료 지원 체계도 가동되고 있다. 포항, 김천, 안동 3개 의료원 의사 27명, 의사회 20명 등 총 47명의 의사들과 약사회 15명이 대피소 현장을 찾아 긴급 의료 지원을 하고 있다.
 
31일부터는 경북의사회 100명이 추가로 투입된다. 감염병 예방을 위해 도내 22개 시군 보건소가 피해 지역을 순회하며 방역 소독과 방역 물품 지원도 계속해서 진행 중에 있다.
 
긴급주거시설 모듈러 주택 설치 장면 사진경상북도
긴급주거시설 모듈러 주택 설치 장면. [사진=경상북도]
또한 농사철인 만큼 일상과 생업을 위한 거주지 인근에 긴급주거시설인 모듈러 주택을 긴급 설치하기로 했다. 안동 등 100호를 시작으로 이재민 중 입주를 희망하는 전원에게 긴급주거시설을 공급해 생업을 이어가는데 차질 없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신속한 일상 회복과 피해 복구를 위해 특별법 제정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역 마을 공동체와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주택 단지를 조성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산불 피해 지역 중심의 집중 투자와 개발로 산림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으로 산림 정책 대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무너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제 기반을 살리기 위해 고용부의 고용위기지역 지정, 중기부의 특별지원지역 지정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경북도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산림 정책 변화도 부처에 강력히 건의해 추진한다. 이번 산불로 인해 천년 고찰인 고운사를 비롯해 수많은 문화유산이 피해를 봄에 따라 문화재 인근의 수목을 미리 베어내는 등 긴급 재난 대응 조치 매뉴얼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기후변화에 따라 앞으로 산불은 더욱 잦아지고 대형화 할 가능성이 높아 국가의 산림 정책과 재난 대응 체계를 완전히 바꿔야 한다”며 “산불을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1만리터 이상 대용량의 물을 한꺼번에 쏟아부을 수 있는 대형 헬기, 고정익 수송기, 야간 진화용 장비 도입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가 ‘구호지원부’를 신설해서 모듈러 주택, 의복, 약품, 비상식량 등 재난용 의식주 구호 물품을 비축하고 있다가, 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투입해서 대피 주민을 보호하는 선진적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