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 중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하며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했다. 화학을 모태로 하는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금융·보험, 리조트·반도체 등으로 삼등분되면서 본격적인 3세 경영 시대로 접어들었다.
한화그룹 지주사인 ㈜한화는 31일 공시를 통해 김 회장이 보유한 지분을 장남 김동관 부회장, 차남 김동원 사장, 삼남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 증여한다고 밝혔다. 3대 2대 2 비율이다.
증여 후 ㈜한화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으로 변경된다. 김 회장이 1대 주주에서 내려오고 세 아들이 지분 100%를 가진 한화에너지가 새로운 최대주주가 되는 구조다.
재계에서는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이 42.67%까지 높아지는 만큼 한화그룹 경영권 승계가 완료된 것으로 본다. 김 부회장 20.85%, 김 사장 10.91%, 김 부사장 10.91% 순이다.
한화그룹은 승계 작업과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불식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룹 핵심인 방산·조선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얽혀 구설에 오르지 않도록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김 부회장 등 세 아들은 ㈜한화와 한화에너지를 합병해 새 지주사를 구성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그룹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두 회사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출 것이라는 오해를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세 아들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 내외로 추정된다. 한화그룹은 현행법에 따라 과세된 세금을 정도 경영 원칙에 따라 투명하게 납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이번 증여로 3세 경영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라며 "계열 분리와 관련해서는 현재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