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경영 승계 마무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일용 기자
입력 2025-03-31 16: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세 아들 지분 42.67%...경영권 승계 완료

  • 증여세 2218억원 투명납부 약속도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진한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진=한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 중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하며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했다. 화학을 모태로 하는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금융·보험, 리조트·반도체 등으로 삼등분되면서 본격적인 3세 경영 시대로 접어들었다. 

한화그룹 지주사인 ㈜한화는 31일 공시를 통해 김 회장이 보유한 지분을 장남 김동관 부회장, 차남 김동원 사장, 삼남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 증여한다고 밝혔다. 3대 2대 2 비율이다.

증여 후 ㈜한화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으로 변경된다. 김 회장이 1대 주주에서 내려오고 세 아들이 지분 100%를 가진 한화에너지가 새로운 최대주주가 되는 구조다.

재계에서는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이 42.67%까지 높아지는 만큼 한화그룹 경영권 승계가 완료된 것으로 본다. 김 부회장 20.85%, 김 사장 10.91%, 김 부사장 10.91% 순이다. 

한화그룹은 승계 작업과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불식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룹 핵심인 방산·조선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얽혀 구설에 오르지 않도록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김 부회장 등 세 아들은 ㈜한화와 한화에너지를 합병해 새 지주사를 구성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그룹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두 회사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출 것이라는 오해를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세 아들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 내외로 추정된다. 한화그룹은 현행법에 따라 과세된 세금을 정도 경영 원칙에 따라 투명하게 납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이번 증여로 3세 경영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라며 "계열 분리와 관련해서는 현재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