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일본 엔 대비 원화 환율은 약 2년 만에 100엔당 1000원 선을 넘어섰다. 오전 10시 기준 원·엔 환율은 100엔당 1007.06원에 거래되고 있다.
엔고 현상은 국내 소부장 업체들에 적신호다. 국내 소부장 기업 대부분이 일본을 통해 부품을 수입하고 있어 엔화 가치가 크게 뛰면 그만큼 원가 부담도 높아질 수밖에 없어서다.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국내 소부장 산업의 일본 의존도가 2019년 이후 줄었다 해도, 여전히 일부 소부장 분야에서는 대일 수입 의존도가 높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화학 △기계 등의 분야가 대표적이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로 인한 무역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국내 소부장 산업이 벼랑 끝에 몰렸다는 평가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2일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시장에서는 관세 여파로 국내 대기업들이 수출이 위축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대기업의 수출이 줄면, 소부장 기업들의 수익성도 빨간불이 켜진다. 국내 대기업의 완제품 수요가 줄면 소부장 기업 역시 일감이 줄고 더 나아가 납품 단가 인하 압박까지 받을 수 있어서다.
실제 대한상공회의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미국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완제품을 수출하는 대미 수출기업의 경우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35.8%)를 가장 우려했고, 이들 기업의 협력사들은 납품 물량이 감소할까 가장 우려한다(61.1%)고 답했다.
무엇보다 관세 영향이 현실화되고 있지만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협력사 등 중소기업은 마땅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걸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국내 소부장 기업들의 생존을 위해서 정부와 기업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학과 교수는 "국내 소부장 업체 대부분이 중소기업으로 글로벌 경기에 취약하다"며 "정부와 대기업이 국내 소부장 기업들을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 결국 소부장 기업이 탄탄해야 국내 산업 생태계가 안정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기업도 생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