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효 네이버 웨일 책임리더는 8일 서울 성동구 르노 성수에서 열린 '그랑 콜레오스 커넥티비티 서비스 테크 세션'에서 르노의 '그랑 콜레오스'에 네이버의 웹 브라우저 '웨일'이 탑재된 과정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9월 르노코리아가 한국에 선보인 그랑 콜레오스에는 '웨일'의 차량용 브라우저가 기본으로 장착됐다. 앞서 작년 2월 네이버는 르노코리아, 드림에이스와 자동차용 웹 플랫폼 구축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바 있다. 기존 PC·모바일용으로 구축된 웨일을 자동차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적용했다. 이로써 그랑 콜레오스 내 앞좌석에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웨일에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웨일을 통해 네이버의 각종 서비스를 비롯해 유튜브·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웨일 내에서 대부분의 서비스가 실행되기 때문에 굳이 별도의 차량용 앱이 있어도 차량 내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 가능하다. 즉 표준화된 환경의 웹 브라우저가 자동차에서 구동되는 것이다.
웹 기반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사용성은 PC나 모바일과 비슷하다. 다만 네이버는 웨일 브라우저를 그대로 자동차에 탑재하는 대신 차량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고안했다. 이에 주로 사용하는 '즐겨찾기' 서비스를 앱 아이콘 형태로 만들어 이용자들이 터치 한 번으로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 형태만 보면 스마트폰 앱이나 PC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배열된 형태와 똑같다. 김효 리더는 "최대한 스마트폰 등 모바일에서 하는 경험과 비슷하게 만들고자 했다"며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자주 가는 사이트는 홈 화면에도 배열할 수 있도록 했다"고 언급했다.

개발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자동차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웨일 브라우저가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특히 운전석과 조수석 등 여러 디스플레이를 오가면서 작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차량의 전반적인 하드웨어 성능이 PC나 모바일만큼 높지는 않기 때문에 최적화에 큰 비중을 두고 작업했다. 또 자동차의 특성상 동영상 서비스를 실행하다가 자동차 운행이 재개되면 동영상을 자동으로 멈추도록 하는 기능이나, 동승석 블루투스 이어폰 기능 등 여러 특화 기능들이 필요한데 웹에서 이를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 리더는 "자동차와 인터랙션하는 부분을 개발하는 데 굉장히 시간이 많이 들었다"며 "자동차라는 환경이 독특한 환경이기도 하고 필요한 기능들도 여러 가지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적용하는 데 시간을 주로 보냈다"고 언급했다.
한때 네이버는 브라우저를 넘어 차량용 운영체제(OS)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웨일 오토(가칭)'를 개발하기도 했다. 다만 현재는 OS 대신 차량용 브라우저에 전념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김 리더는 "한때 웹OS 방식으로 웨일 오토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현실적으로 차량 OS를 직접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며 "브라우저만으로도 OS와 어느 정도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했고 차량용 브라우저 확대에 나선 것"이라고 언급했다. 네이버는 향후 그랑 콜레오스 외에도 다양한 차종에 웨일을 탑재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그랑 콜레오스는 르노 역사상 최초로 5세대 이동통신(5G) 망을 기반으로 한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탑재했고, 국내 완성차 업계 중에서는 최초로 동승석까지 확장된 오픈R 파노라마 스크린을 적용해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강조했다. 12.3인치 박막트랜지스터(TFT) 디스플레이 클러스터와 같은 크기의 센터 디스플레이, 동승석 디스플레이 등 세 개의 스크린을 갖췄으며 이곳에서 각종 운전 보조 기능을 비롯해 OTT·게임·음악 등 여러 엔터테인먼트 기능들도 이용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