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쳤다···D램 시장 사상 첫 1위

  • 카운터포인트리서치 1분기 D램 점유율 분석

  • SK하이닉스 점유율 36%...삼성전자 34%로 2위

  • 2·4분기까지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점유율 확대

사진각사
[사진=각사]

SK하이닉스가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창사 이래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 인공지능(AI) 시대 '효자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독보적인 공급자로 우뚝 선 덕분이다. 큰손 고객 엔비디아에 HBM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면서 산업 주도권을 쥔 반면 삼성전자는 기술 격차로 인해 뒤따라가는 형국이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매출액 기준 점유율 36%를 차지했다. 이어 삼성전자(34%), 마이크론(25%) 순으로 집계됐다. HBM 분야에서는 SK하이닉스가 70%의 점유율로 압도적 우위를 점했다.

지난해 1분기의 경우 삼성전자 41%, SK하이닉스 30%로 10% 이상 격차가 났었다. 4분기에 삼성전자 37%, SK하이닉스 35%로 차이를 좁혔고 올해 1분기 들어 역전됐다. 

최정구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수석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SK하이닉스가 D램 분야, 특히 HBM 메모리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결과"라며 "회사에 큰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라고 분석했다.

SK하이닉스는 AI 가속기 시장을 장악한 엔비디아에 최신 HBM을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HBM 수요가 유지되는 한 SK하이닉스가 선두를 달리는 점유율 구도는 2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트럼프 관세 장벽에도 HBM 시장은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황민성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디렉터는 "단기적으로는 AI 수요가 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HBM 시장은 무역 충격을 덜 받을 것"이라며 "HBM의 주요 적용처인 AI 서버는 '국경 없는' 제품군"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도 HBM을 포함한 고부가 D램 가격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관세 전쟁으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기 침체가 현실화할 경우 HBM 시장 성장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