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5' 병원이 있는 의대 중 4개 대학(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과 고려대 학생 대표들이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5개 의대 학생 대표는 9일 공동성명을 내고 "의대협(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 투쟁 방향성을 존중하고 투쟁을 지속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에서 "함께 하자는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압박에 결국 굴해 먼저 이탈하게 된 점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며 "여전히 우리의 투쟁 의지는 굳건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그대로 남아 있으며 정부의 의도적인 지연 술책으로 의대 전체의 교육 파행은 장기화되고, 향후 의료의 질 하락은 예견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의학교육과 의료현장의 파행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 해결은 언제 누구에게 시작됐는지, 의료의 질은 지켜질 수 있는지 물었다.
이들은 "우리는 아직 책임 있는 답변을 듣지 못했다. 그리고 답변하겠다는 약속조차 듣지 못했다"며 "이에 우리는 일치된 입장을 명확히 선언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빅5 중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수업 참여로 내부 의견을 모았고 본과 2·3학년은 첫 시험도 전원 응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 의대 학생 대표는 9일 공동성명을 내고 "의대협(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 투쟁 방향성을 존중하고 투쟁을 지속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에서 "함께 하자는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압박에 결국 굴해 먼저 이탈하게 된 점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며 "여전히 우리의 투쟁 의지는 굳건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그대로 남아 있으며 정부의 의도적인 지연 술책으로 의대 전체의 교육 파행은 장기화되고, 향후 의료의 질 하락은 예견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의학교육과 의료현장의 파행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 해결은 언제 누구에게 시작됐는지, 의료의 질은 지켜질 수 있는지 물었다.
이들은 "우리는 아직 책임 있는 답변을 듣지 못했다. 그리고 답변하겠다는 약속조차 듣지 못했다"며 "이에 우리는 일치된 입장을 명확히 선언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빅5 중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수업 참여로 내부 의견을 모았고 본과 2·3학년은 첫 시험도 전원 응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