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틱톡 앞세워 '여론전'…"100불짜리 룰루레몬 레깅스의 진실은?"

  • 트럼프발 관세 공격...中 틱톡 '여론전 무기'

  • 美명품 OEM 공장서 영상 찍는 틱톡커들

  • "100불짜리 명품 레깅스 원가는 5불"

  • 트럼프 관세 조롱. 비판하는 영상도 인기

  • 美 틱톡 이용자만 1.7억명…여론전 효과

중국의 한 틱톡커가 미국 브랜드의 한 중국 OEM 공장을 찾아가 찍은 영상 영상속에서 그는 미국에서 100달러에 팔리는 제품의 원가가 사실 68달러짜리라고 말한다 사진틱톡 캡처화면
최근 중국의 한 틱톡커가 미국 브랜드의 한 중국 OEM 공장을 찾아가 찍은 영상. 영상 속에서 그는 미국에서 100달러에 팔리는 제품의 원가가 사실 6~8달러짜리라고 말한다. [사진=틱톡 캡처화면]

"룰루레몬 제품의 일부를 생산하는 기업이 중국 이우에 있다. 룰루레몬에서 100달러에 파는 자켓을 이곳에선 6~8달러에 생산한다. 소재와 품질도 똑같다."

틱톡에서 @rosie.sportswear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한 중국 인플루언서가 미국 요가복 브랜드 룰루레몬의 중국 저장성 이우의 한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공장에서 찍은 동영상이다.  이 인플루언서는 룰루레몬 뿐만 아니라 휠라 언더아머와 같은 미국 다른 브랜드 의류도 생산하고 있다며 관심이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하라고 말한다. 

현재 이 영상은 게재된 지 하루만에 580만명이 넘게 시청했을 정도로 인기몰이 중이다. "고마워요, 트럼프. 중저소득층에게 도움이 되는 이런 회사들을 많이 노출시켜 주다니", "해당 회사와 어떻게 접촉할 수 있나요" 등 6000개 넘는 댓글도 달렸다.

미중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 최근 며칠 사이 틱톡에는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글로벌 명품 OEM 공장에서 직접 찍은 영상들이 줄줄이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명품 브랜드의 약 20분의 1 저렴한 가격에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사려면 연락하라며 미국인의 직접 구매를 유혹한다. 

영상은 그동안 전 세계에서 비싼 값에 팔리는 명품 브랜드 제품이 '세계의 공장' 중국에서 어떻게 저렴한 가격에 생산되는지 보여준다. 저품질의 '짝퉁(모조품)’으로 여겨졌던 중국산 제품들을 사실은 미국·유럽 등에서 명품 브랜드에서 '라벨'만 새로 붙여져 수십 배 높은 가격에 팔고 있음을 적나라하게 폭로한 셈이다. 

이를 두고 “트럼프가 관세 전쟁으로 ‘판도라의 상자’를 열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실제  ‘중국이 진실을 폭로했다(China exposed the truth)'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린 한 외국인은 “미·중 관세전쟁은 미국이 우리에게 보여주고 싶어하지 않았던 진실을 알려줬다“며 “당신이 수백 수천 달러 돈을 써서 구매한 명품이 모두 중국에서 싼값에 만들어진 제품이란 사실”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무역전쟁이 진짜와 가짜를 판가름하게 해줬다"며 사실상 중국이 만든 저렴한 제품이 '진짜'고, 저렴한 제품을 비싸게 판 명품 브랜드가 '가짜'임을 시사했다. 이 영상은 올라온 지 이틀만에 1000만건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으며, 60만명이 넘게 ‘좋아요’를 눌렀다. 

틱톡에는 미국의 관세정책을 맹비난하며 미국인들에게 행동을 취하라고 촉구하거나,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조롱하는 인플루언서의 영상도 속속 올라온다.

@neil778027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는 한 중국인 인플루언서는 영상에서 미국인을 향해 “지금 필요한 건 관세가 아닌 혁명”이라고 호소하며 미국의 정치 행태를 비판했다. 이 영상은 200만명이 넘게 시청하고 2만개 넘는 댓글이 달릴 정도로 인기몰이 중이다. 

영상 속에서 인플루언서는 "수십 년간 여러분의 정부와 정치인들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중국으로 빼돌렸다”며 “외교나 평화를 위해서가 아니라 값싼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서였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이는 중산층을 파탄 내고 노동계급을 몰락시켰다”며 “그들의 이익을 위해 여러분의 미래를 희생시키면서 그들은 여러분에게 자랑스러워하라고 했다”고도 주장했다. 그리고 미국 정치인들은 자신들이 망쳐 놓고선 이제 중국을 비난한다”고도 꼬집었다.

블룸버그는 단기간에 이처럼 유사한 주제의 영상이 쏟아져 나온 것은 중국산 제품에 145% 관세를 부과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폭탄 조치에 대한 대중의 반발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러한 틈을 타서 중국이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여론을 유도하기 위해 틱톡을 ‘여론전 무기’로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을 대상으로 관세율을 올리면서 ‘트럼프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미국인 소비자들은 틱톡에 올라오는 이러한 영상에 열광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틱톡 이용자만 1억7000만명. 중국의 틱톡을 이용한 여론몰이가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틱톡이 미국인의 일상생활에 얼마나 깊이 침투했는지를 그대로 보여준 셈이다. 이를 우려한 미국 정부가 그동안 틱톡의 소유주인 중국 바이트댄스를 정조준해 미국 사업 운영권을 포기하도록 압박해 온 배경이기도 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