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이후 목동 재건축 예정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강남권보다 저렴한 학군지라는 메리트에 실거주 수요가 높고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매수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22일 부동산 빅데이터 기업 아실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 구역 확대 재지정이 시행된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20일까지 서울 시내 아파트 매매거래량 상위 10곳 중 5곳이 목동 재건축 단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목동신시가지11단지가 16건으로 가장 많았고, 목동신시가지14단지가 14건으로 두번째로 많았다. 목동신시가지1단지·5단지(각 12건), 목동신시가지4단지(9건)도 상위 10위 내에 이름을 올렸다.
신고가 거래도 잇따르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목동신시가지 총 14개 단지 중 12개 단지가 신고가를 경신했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2·12단지도 앞서 지난달 신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특히 용적률이 14개 단지 중 가장 낮아 재건축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목동신시가지5단지의 상승이 두드러진다. 목동신시가지5단지 전용면적 65㎡는 지난 9일 21억8000만원에 손바뀜돼 앞서 이달 5일 작성한 같은 면적의 매매신고가(20억3000만원)를 나흘 만에 1억5000만원 오른 가격에 경신했다.
목동 5단지 인근 공인중개사는 "매물이 3월 초와 비교해 절반 가량 줄었다"며 "사업성이 좋은 5~7단지 경우 집주인들이 최고가보다 호가를 높여 내놓아도 매수 문의가 계속 들어온다"고 말했다.
올해 초부터 3월 23일까지 서울에서 상위 매매 거래단지가 송파구와 강동구에 몰려 있었으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으로 매수 수요가 목동으로 쏠린 것이다. 대치동 등 강남권 학군지 입성이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가격 측면에서 강남보다 진입장벽이 낮고 교육여건이 우수한 목동으로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강남권이 토지허가 구역으로 재지정된 이후 매수세가 인근 지역으로 퍼지는 분위기"라며 "특히 목동은 압구정·여의도 등 고가 지역에 비해 가격 측면에서 진입장벽이 낮고, 대치동에 들어가지 못한 실수요자들이 학군지인 목동으로 유입되며 매수세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목동 일대의 재건축에 속도가 붙으면서 기대감이 반영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양천구청은 지난 10일 목동 1~3단지의 정비계획안을 공개하며 목동 재건축 14개 단지의 재건축 청사진이 완성됐다고 밝힌 바 있다.
목동 아파트 14개 단지는 총 2만6629가구로 이뤄졌는데 재건축을 통해 4만7392가구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양천구청은 연내 모든 단지 정비구역 지정을 마친다는 방침이다.
최근 목동의 집값 상승세를 두고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목동은 재건축 추진 속도도 빠른 편이지만 단지별로 사업 진행 속도나 사업성에 편차가 있는 만큼 투자 시 세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며 "강남권이 규제에 묶이자 반사효과로 상승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가격 상승세가 오래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