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트럼프, 관세 역풍에 금리로 타깃 옮기나…연일 파월에 금리 인하 압박

  • 트럼프 "파월, 중대 실패자…금리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

  • 모건 스탠리 "기업들, 관세로 팬데믹 이후 가장 큰 불확실성 직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중대 실패자'라고 비판하며 금리 인하를 재차 압박했다. 미국 내에서 관세 정책 부작용으로 인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그에 대한 돌파구로 금리 인하를 겨냥한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소유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파월 의장을 가리켜 "'미스터 투 레이트'(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것을 비꼰 표현)이자, 중대 실패자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많은 사람이 금리의 '선제적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며 자신이 취임한 이후 에너지 비용과 식품 가격이 상당히 낮아졌고 대부분의 다른 품목 가격도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은 사실상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유럽은 이미 7번이나 금리 인하를 했다"며 대선 기간에 조 바이든 전 대통령 및 카멀라 해리스 당시 부통령을 돕기 위해 금리를 인하했을 때를 제외하고 파월 의장은 항상 늦게 금리를 인하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도 금리를 잇달아 동결하고, 자신이 대대적으로 도입한 관세가 미국 경제에 미칠 파장을 지적한 파월 의장에 대해 사퇴 압박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파월 의장은 지난 16일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지금까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당장 금리인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두고 지난 17일  트루스소셜에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고 적었고 같은 날 파월 의장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며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지난 18일 케빈 해셋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해임할 수 있는지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연일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것과 관련해 로이터통신은 "경기 둔화 전망이 전반적으로 높아진 가운데 이를 저지하기 위해 연준이 신속하게 금리를 인하하도록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실 저금리는 '트럼프의 경제 책사' 스티브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이 작성한 트럼프 2기 경제 정책의 지침으로 불리는 이른바 '미란 보고서'에서 무역 수지 개선을 위한 약달러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제안한 방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압박하고 있는 것은 자신이 강경하게 추진한 관세 정책이 역풍에 부딪힌 가운데 이에 따른 희생양을 마련하기 위함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조만간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기 약화를 연준의 책임으로 돌릴 것이라고 시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월마트, 홈디포 등 관세 정책의 타격이 컸던 미국 주요 유통업체 최고경영자(CEO)들과 예정에 없던 만남을 갖는 등 실물경제 부문에 대해서는 예전보다 한층 유화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으로 인한 역풍으로 정치난·경제난 등 이중고를 겪고 있다. 실제로 올 들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12.3% 하락하는 등 미 증시가 부진의 늪에 빠졌고,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9% 넘게 떨어지는 등 '셀 아메리카' 흐름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이 와중에 로이터와 여론조사업체 입소스가 미국 성인 43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 평가는 42%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 같은 방식으로 금리 인하 혹은 연준 의장 해임을 강행한다면 이로 인한 파장은 더욱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JP모건은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 해임 움직임과 관련해 "연준의 독립성이 조금이라도 약화되면, 이미 관세 및 인플레이션 기대치 상승으로 인해 상방 압력을 받고 있는 인플레이션 전망에 추가적인 상승 위험이 더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이날 CNBC에 출연해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침해될 경우 결국 고물가와 저성장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에) 장기적으로 방해가 있으면 힘든 순간에 놓였을 때 금리 인상이란 어려운 일을 수행할 의지가 줄어들 수 있다"며 "이는 곧 높은 인플레이션과 성장 악화, 높은 실업률로 귀결됨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