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임 후 첫 100일 동안 전 세계에 '관세 폭격'을 가하며 세계 경제 질서를 뒤흔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100일 동안은 상호관세를 둘러싼 무역 협상에 집중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7월 8일까지 90일간 유예하고 그 기간 동안 협상을 마무리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이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는 이번 주에 그의 취임 100일간의 성과를 강조하는 반면 향후 100일은 무역 협상과 평화 협상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백악관 관계자들을 인용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 역시 앞으로 100일은 "무역 협상과 평화 협상"이 주안점이 될 것이라고 한 미국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후 현재까지 총 139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속도전'을 진행해 왔다. 이는 경제 대공황 당시 취임한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99개)까지 앞선 것으로,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첫 100일간 가장 많은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이다. 행정명령 분야도 관세 부과를 비롯해 불법 이민자 추방, 연방정부 구조 조정 및 공무원 대규모 감원, 트랜스젠더 권리 축소, 다양성 프로그램 폐지 등 광범위했다.
하지만 그의 일방적이고 거센 정책 추진은 미국 내에서도 많은 반발을 불러왔고, 그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40% 이하로까지 떨어지면서 1945년 이후 미국 대통령 중 최악의 100일을 맞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산업계, 대학, 법원 등이 그의 정책에 제동을 걸고 있고, 외부적으로는 중국과 유럽연합(EU), 캐나다 등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정면으로 맞설 준비를 하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미국증시와 미국채 및 달러 가치가 모두 하락하는 '셀 아메리카' 현상이 나타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전 세계적인 우려를 증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관세 정책과 관련해 초반의 공격적 기세를 누그러뜨리고 협상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관측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한 고위 관리는 "대통령이 무역 협정 체결 및 관세 집행보다 더 확고한 결의를 보이는 사안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 일본 등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역시 이날 미 ABC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전략적 불확실성”이라고 옹호하면서, 미국과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도 결국 관세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부적으로 법원 및 정부 관리 집단과는 계속해서 충돌이 있을 전망이다. 백악관 한 관계자는 "트럼프 100일은 행정 명령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며 "향후 100일은 더 많은 행정명령이 나올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29일에는 제너럴모터스(GM)와 스텔란티스의 자동차 공장이 있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인근 맥컴카운티에서 취임 100일 기념 집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회에서 자신의 경제 비전, 불법이민자 추방, 외교정책의 변화, 정부효율부(DOGE)의 활동 등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