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령관으로서 주한미군의 능력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숫자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이 지난 8일 평택 소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에서 열린 국방부 출입기자단 대상 간담회에서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같이 말했다.
제이비어 브런슨 사령관은 “(작전)환경을 감시·감지·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영역기동부대(MDTF)와 5세대 전투기를 한국에 배치하는 것을 생각한다”며 “작전, 전술 부문에서는 숫자를 논할 수 있겠지만 전략 부문에서는 진화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연합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한미군 대비태세가 유지될 경우, 병력 감축은 수용 가능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5월 미국이 2만8500명의 주한미군 병력 중 4500명을 철수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지난달 미국의 한 싱크탱크는 주한미군을 1만명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달 말께로 예상되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미국이 추진하는 ‘동맹 현대화’에 대해 큰 틀의 합의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동맹 현대화에는 주한미군 규모와 역할의 변화, 한국의 국방비 증액 문제, 대북 방어에서 한국의 주도적 역할 확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등 한미동맹은 물론 한반도·동북아 정세에도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사안들이 망라돼 있다.
브런슨 사령관은 “동맹 현대화는 우리 동맹이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진화하는 안보 도전에 가장 잘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유지하게끔 보장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작권 전환은 기존에 합의된 방향으로 계속 추진하면 잘 될 것이다”라며 “하지만 손쉬운 지름길을 택하게 되면 한반도 내 전력의 준비태세를 위태롭게 할 것이다. 단순히 완료했다고 하기 위해 서두르는 것은 한국과 미국에 이롭지 않다”고 덧붙였다.
전작권 전환 조건 충족 여부는 ‘을지 자유의 방패’(UFS) 등 전구급 한미 연합 훈련을 통해 검증한다. △최초작전운용능력(IOC) 검증 △완전운용능력(FOC) 검증 △완전임무수행능력(FMC) 검증 등 3단계를 거치게 돼 있다.
현재 2단계인 FOC 검증이 진행 중으로, FOC 대상 부대 검증은 대부분 완료됐지만 미래 연합사 관련 FOC는 아직 최종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8∼9월 중으로 예상되는 새 국방전략 발표를 앞두고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를 추구할 것이라는 관측은 그간 꾸준히 제기돼왔다.
양안(중국·대만) 문제에 대한 질문에 브런슨 사령관은 “늘 그렇듯 각 정부는 자국의 이익에 맞게 결정을 할 것이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 대만을 지원할 것이기에 한국도 함께해야 한다고 요구할 것이라 결론지어진 것처럼 고려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 요청된 것은 북한을 상대하는 데 더 큰 힘을 발휘하란 것일 것이다”라며 “우리가 다른 일도 할 수 있게 동맹을 현대화하면서 유연성을 발휘해 달라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정례 한미연합훈련인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이 오는 18∼28일 진행된다. UFS 연습은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지휘소연습(CPX)과 야외기동훈련(FTX)으로 구성되는데, UFS 연습기간 계획됐던 40여건의 FTX 중 20여건이 9월로 연기됐다.
브런슨 사령관은 안규백 국방부 장관, 김명수 합참의장에게 폭염과 홍수 등 자연재해 때문에 훈련 중 일부 일정을 조정해도 괜찮냐는 질문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군인으로서 가장 숭고한 사명은 우리가 지켜야 하는 사람들을 돕는 것이다”라며 “연습을 일부 조정했으나, 준비태세를 위해 연습은 온전히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이 지난 8일 평택 소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에서 열린 국방부 출입기자단 대상 간담회에서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같이 말했다.
제이비어 브런슨 사령관은 “(작전)환경을 감시·감지·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영역기동부대(MDTF)와 5세대 전투기를 한국에 배치하는 것을 생각한다”며 “작전, 전술 부문에서는 숫자를 논할 수 있겠지만 전략 부문에서는 진화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연합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한미군 대비태세가 유지될 경우, 병력 감축은 수용 가능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5월 미국이 2만8500명의 주한미군 병력 중 4500명을 철수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지난달 미국의 한 싱크탱크는 주한미군을 1만명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맹 현대화에는 주한미군 규모와 역할의 변화, 한국의 국방비 증액 문제, 대북 방어에서 한국의 주도적 역할 확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등 한미동맹은 물론 한반도·동북아 정세에도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사안들이 망라돼 있다.
브런슨 사령관은 “동맹 현대화는 우리 동맹이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진화하는 안보 도전에 가장 잘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유지하게끔 보장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작권 전환은 기존에 합의된 방향으로 계속 추진하면 잘 될 것이다”라며 “하지만 손쉬운 지름길을 택하게 되면 한반도 내 전력의 준비태세를 위태롭게 할 것이다. 단순히 완료했다고 하기 위해 서두르는 것은 한국과 미국에 이롭지 않다”고 덧붙였다.
전작권 전환 조건 충족 여부는 ‘을지 자유의 방패’(UFS) 등 전구급 한미 연합 훈련을 통해 검증한다. △최초작전운용능력(IOC) 검증 △완전운용능력(FOC) 검증 △완전임무수행능력(FMC) 검증 등 3단계를 거치게 돼 있다.
현재 2단계인 FOC 검증이 진행 중으로, FOC 대상 부대 검증은 대부분 완료됐지만 미래 연합사 관련 FOC는 아직 최종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8∼9월 중으로 예상되는 새 국방전략 발표를 앞두고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를 추구할 것이라는 관측은 그간 꾸준히 제기돼왔다.
양안(중국·대만) 문제에 대한 질문에 브런슨 사령관은 “늘 그렇듯 각 정부는 자국의 이익에 맞게 결정을 할 것이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 대만을 지원할 것이기에 한국도 함께해야 한다고 요구할 것이라 결론지어진 것처럼 고려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 요청된 것은 북한을 상대하는 데 더 큰 힘을 발휘하란 것일 것이다”라며 “우리가 다른 일도 할 수 있게 동맹을 현대화하면서 유연성을 발휘해 달라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정례 한미연합훈련인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이 오는 18∼28일 진행된다. UFS 연습은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지휘소연습(CPX)과 야외기동훈련(FTX)으로 구성되는데, UFS 연습기간 계획됐던 40여건의 FTX 중 20여건이 9월로 연기됐다.
브런슨 사령관은 안규백 국방부 장관, 김명수 합참의장에게 폭염과 홍수 등 자연재해 때문에 훈련 중 일부 일정을 조정해도 괜찮냐는 질문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군인으로서 가장 숭고한 사명은 우리가 지켜야 하는 사람들을 돕는 것이다”라며 “연습을 일부 조정했으나, 준비태세를 위해 연습은 온전히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