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해군성 장관 만난 정기선·김동관…함정 설계·건조 역량 적극 어필

  • 정기선·김동관, 美 해군성과 잇단 회동

  • 함정 건조·MRO 협력 방안 구체적 논의

김동관왼쪽 한화그룹 부회장과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사진각 사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왼쪽)과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사진=각 사]

한·미 조선업 협력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을 상대로 적극적인 세일즈에 나섰다. 특히 이지스함 설계·건조 능력 등을 어필한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정기선 수석부회장과 김동관 부회장은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은 펠란 장관을 현장에서 직접 맞이했다. 김동관 부회장은 당초 방한 중인 트럼프 주니어와의의 면담 일정으로 현장 참석이 불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예상과 달리 거제사업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해군성은 미 국방부 산하 조직으로 해군 행정·예산·장비 획득 등을 담당하는 부서다. 펠란 장관의 이번 방문이 조선소 현장 확인을 넘어, 미국 해군 함정 관련 사업 참여 가능성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양사 경영진들은 펠란 장관과 수상함, 잠수함 등 군함 건조 사업 협력 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최근 미국 선박의 해외 건조를 막는 '존스법' 개정 움직임이 있는데다 대규모 함정 조달 계획 등도 발표되며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글로벌 방산 시장 내 핵심 플레이어로 급부상하고 있다. 두 기업 모두 이지스함, 호위함 등 뛰어난 함정 건조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HD현대중공업은 이지스함을 직접 설계·건조하는 국내 유일 조선사다. 한국 해군이 보유하게 될 6척의 이지스함 중 5척도 직접 건조하고 있다. 현재 이지스 전투 체계까지 통합할 수 있는 팀을 운영하며 미국 이지스함 건조 시장 개방에 대비하고 있다.

한화오션의 이지스함 건조 능력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미국 시장이 개방될 경우를 대비해 연 3척 규모의 건조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달 미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시라'호의 유지·보수·정비(MRO)를 6개월 만에 마무리하며 관련 사업 물꼬를 텄다. 

특히 이번 회동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조선업에 대한 관심을 연이어 표명한 가운데 이뤄져 더욱 주목된다. 그는 당선 이후 두 차례에 걸쳐 한국의 군함 건조 능력을 언급하며 "MRO 분야에서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펠란 장관 역시 최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 해군 전력 강화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보유 함정을 오는 2054년까지 381척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는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선 한국과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최근 미국 정치권에서 존스법 개정에 대한 공감대까지 형성돼 국내 조선사에 신규 함정 수주 등의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