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호 한수원 사장 "체코 원전 최종계약 문제 없을 것…제3국 수출도 분발"

  • 공급망 바탕으로 저렴한 가격에 전력 공급

  • "한전과의 비용 분쟁, '국제 망신' 아냐"

체코 두코바니 원전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체코 두코바니 원전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원전 사업은 체코의 국가적 공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며 내각회의에서 계약을 승인했기 때문에 잘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사장은 8일(현지시간) 현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를 통해 체코 두코바니 신규원전 수주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초 일정보다 늦어졌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며 "물론 계약이 (예정대로) 체결됐으며 건설 사업소를 여기에 설치하고 우리 파견 인력도 지정해서 착오 없이 진행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그게 늦어졌다. 준비했던 것이 지연되는 만큼 어느 정도의 손해는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체코전력공사(CEZ)는 한수원이 웨스팅하우스, 프랑스전력공사(EDF)보다 저렴한 가격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황 사장은 탄탄한 공급망을 바탕으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황 사장은 "지난 50년간 (원전을) 건설하면서 공급망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절차가 다 정해져 있다"며 "이번에 공급하는 원전이 1000MW(메가와트)지만 거기 들어가는 자재 공급(망)을 다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발전소를 지으면서 연결된 공급망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근거도 있으며 상당한 확신에 의해서 (저렴하게) 제공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와의 비교에 황 사장은 "그런 일(공기 지연)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바라카 때의 일부 증가된 내용들은 발주사의 요구에 의해 새로운 일을 추가해야 됐기 때문에 계약보다 추가된 일이 생겨 기간이 늘어난 것"이라며 "미국이나 원자력 전문가 사이에서도 한국은 '온 타임 위드 인 버짓'을 하는 나라라고 부른다. 여기(체코)에서는 추가해야 하는 일들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일이 안 벌어지게 하는 것이 우리의 능력"이라고 강조했다.

체코 이후 원전 수출이 유리한 지역을 골라달라는 질문에 황 사장은 "수요자가 원하는 쪽으로 가는 것이 편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그는 "노르웨이에 큰 유전회사가 차린 시행사, 스웨덴의 아주 유력한 시행사 등과 SMR 공급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며 "우리가 참여한다는 것에 대해 그 사람들은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전력공사와의 분쟁을 두고 일각에서는 '국제 망신'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서도 황 사장은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며 잘라 말했다. 

황 사장은 "분쟁이 생길 것을 대비해서 우리가 한전하고 맺은 계약서는 원래 한전이 UAR와 맺은 계약의 준거법인 영국법을 근거로 한다. 그래서 우리도 런던중재재판소로 간 것"이라며 "모든 사업적인 활동에서 이 정도 큰 규모는 다 이런 절차를 거치게 돼 있다. 국제 망신이라는 얘기는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