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직접 대화 제안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5년 반 만에 양국 정상 회담 가능성과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1일 저녁(현지시간)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나는 오는 15일 튀르키예에서 푸틴을 기다리겠다. 직접”이라며 “이번에는 러시아인들이 핑계를 찾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는 푸틴 대통령이 이날 오전 1시경 심야 기자회견을 갖고 우크라이나에 오는 15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협상을 재개하자고 제안한 것을 젤렌스키 대통령이 수락한 것이다.
사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기존 요구대로 12일부터 휴전이 이루어져야만 협상 테이블로 나올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찾은 유럽 4개국 정상(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들과 함께 12일부터 30일간 휴전을 촉구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우크라이나는 즉시 (푸틴 대통령의 대화 제안에) 동의해야 한다”며 우크라이나를 압박하자 젤렌스키 대통령도 푸틴 대통령의 대화 제안을 수락한 모습이다.
따라서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모두 15일 튀르키예에서의 직접 대화를 수락한 가운데 양국 간 정상회담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양 정상이 만나게 될 경우, 2019년 12월 돈바스 지역 분쟁 해결을 위해 독일, 프랑스 정상과 함께 파리에서 만난 이후 약 5년 반 만에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미국과 유럽 등 국제사회의 압박에 마지못해 협상에 임하는 측면이 크기 때문에 실제적인 협상 성사 및 추가 휴전 합의 가능성은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아울러 군사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러시아가 예정된 회담을 명분 삼아 시간을 벌며 전장을 확장할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실제로 러시아는 북한의 군사 지원을 기반으로 쿠르스크 지역을 상당 부분 수복하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X를 통해 “푸틴은 협상을 시도하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시간을 벌려는 전략”이라며 “이는 답변을 회피하는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