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조 글로벌 공조 시장 정조준··· 삼성·LG 주도권 경쟁 치열

  • 삼성전자, 플랙트 인수로 글로벌 공략 본격화

  • LG전자, 냉난방공조 사업 20조 규모 성장 기대

LG전자의 HVAC 기술력을 기반으로 개발한 액체냉각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의 냉난방공조(HVAC) 기술력을 기반으로 개발한 액체냉각 솔루션. [사진=LG전자]
 
오는 2030년까지 140조원대로 급성장할 글로벌 냉난방공조(HVAC) 시장을 놓고 삼성과 LG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LG전자가 공조 사업을 미래 주력 사업으로 점찍고 투자와 조직 정비를 이어가는 가운데 삼성전자도 유럽 최대 공조 기업을 인수하며 맞불을 놨다.

글로벌 기업들이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공장 등 인공지능(AI) 후방산업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며 공조 시장도 함께 각광을 받는 상황이다.

14일 삼성전자는 100년 전통의 독일 공조 기업 플랙트 인수 소식을 전하며 "생성형 AI·로봇·자율주행·확장현실(XR) 등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향후 사업성을 설명했다.

기업간거래(B2B) 솔루션 제공 경험이 풍부하고, 시설 유지·보수 전문 인력을 다수 보유한 플랙트 인수를 통해 세계적인 종합공조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플랙트는 데이터센터, 박물관 및 도서관, 공항 및 터미널, 대형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고품질·고효율 공조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해 왔다. 빅테크뿐 아니라 글로벌 메이저 제약사, 헬스케어, 식음료, 플랜트 등 60개 이상의 대형 고객을 확보 중이다. 특히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대형 데이터센터 공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간 삼성전자가 가정용·상업용 등 개별공조 제품 위주로 사업을 진행했다면 이번 인수를 계기로 플랙트가 가진 인프라를 활용해 중앙공조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들이 동남아 지역 등에서 대규모 데이터센터 설립에 나서고 있는 만큼, 글로벌 사우스(남반구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를 겨냥한 사업 기회 발굴도 가능하다. 

공조 사업은 지구온난화, 친환경 에너지 규제 등 영향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 대상 중앙공조 시장은 2030년 990억 달러(140조원)까지 연평균 8%씩 성장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데이터센터 부문은 441억 달러(약 62조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잠재력에 LG전자도 공조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해 미국 앨라배마주에 신규 공조 생산기지를 착공하며 북미 상업용 HVAC 수요 증가 대응과 시스템에어컨·히트펌프 등 고효율 제품 공급 확대를 추진 중이다. 데이터센터 칠러를 중심으로 MS 등 빅테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LG HVAC 아카데미'로 불리는 글로벌 거점도 계속 늘려 왔다.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지난해 말 기존 H&A사업본부에서 공조 사업을 분리해 ES사업본부를 신설하며 2030년까지 공조 매출을 두 배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B2B 비중도 45%까지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월 열린 주주총회에서 "현재 10조원 정도인 공조 사업을 2030년까지 20조원 규모로 성장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또 방한한 사티아 나델라 MS CEO와의 회동에서는 MS 데이터센터에 LG전자의 냉각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