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가족 기업의 2조원대 현지 부동산 투자 사업을 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폭탄 완화를 기대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쩐 홍 하 베트남 부총리는 '트럼프 오거니제이션'과 베트남 부동산 개발업체 '킨박시티'(KBC) 컨소시엄의 베트남 북부 하노이 인근 흥옌성에서 추진하는 사업을 승인했다.
이 사업은 18홀 골프장 3개와 주거 단지, 상업시설, 공원 등을 건설하는 15억 달러(약 2조1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다. 연내 착공해 2029년 준공할 계획이다.
이 컨소시엄은 베트남 남부 호찌민시 근처에 현지 두 번째 규모의 골프장과 호텔을 짓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최종 부지 선정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상태다. 베트남은 대미 무역흑자 축소를 위해 미국산 상품 등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방미한 까오 아인 뚜언 베트남 재무부 차관은 미국 재무부의 로버트 캐프로스 국제차관보(대행)를 만난 자리에서 "베트남에는 에너지, 첨단기술, 항공, 기계·장비, 농산물 분야에서 강점이 있는 미국산 제품에 대한 수요가 있다"며 유화적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 상품 무역흑자는 1235억 달러(약 173조원)로 역대 가장 많았다. 흑자 폭은 중국·유럽연합(EU)·멕시코에 이어 4위다. 올 들어서도 1분기에만 365억 달러(약 51조원)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