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주요 언론 "공동발표문, 한일 청구권 협정 염두 작성"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에서 공개한 발표문에 '한일 청구권 협정'을 염두한 내용이 포함됐다는 해석이 나왔다. 

24일 요미우리 등 일본 주요 언론에 따르면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전날 도쿄 총리 관저에서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 이후 공동 언론발표문을 채택했다.

양국 정상은 발표문에서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1965년 국교 정상화 이래 지금까지 축적돼 온 한일관계의 기반에 입각해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이며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일본 측은 발표 당일까지 발표문 내 한일관계 '기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시키려 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국교 정상화 당시 체결한 한일 청구권 협정을 염두에 둔 행동으로 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일본 기업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한국 법원 판결이 나올 때마다 청구권 협정에 따라 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고 강조해 왔다. 

요미우리는 "한국 내부에 청구권 협정이 군사정권 시절 체결돼 정당성을 의문시하는 시각이 있다"며 "이러한 점이 역사 문제가 다시 불거지는 것을 초래했던 만큼 이 대통령과 협정 의의를 사실상 확인했다는 것은 일정한 성과"라고 진단했다. 

한일 협력은 역사 문제와 퇴진 위기에 직면한 이시바 총리의 정권 유지에 달려 있다고 마이니치는 평가했다. 마이니치는 "일본 정부 내 일부에는 역사 문제가 다시 터질 것을 경계하는 시각이 있다"며 "지난해 니가타현 사도 광산 노동자 추도식이 한국 측 불참으로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고 설명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에 관세를 부과한 만큼 한일이 안보 협력 강화를 모색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