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요미우리 등 일본 주요 언론에 따르면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전날 도쿄 총리 관저에서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 이후 공동 언론발표문을 채택했다.
양국 정상은 발표문에서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1965년 국교 정상화 이래 지금까지 축적돼 온 한일관계의 기반에 입각해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이며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일본 측은 발표 당일까지 발표문 내 한일관계 '기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시키려 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국교 정상화 당시 체결한 한일 청구권 협정을 염두에 둔 행동으로 보고 있다.
요미우리는 "한국 내부에 청구권 협정이 군사정권 시절 체결돼 정당성을 의문시하는 시각이 있다"며 "이러한 점이 역사 문제가 다시 불거지는 것을 초래했던 만큼 이 대통령과 협정 의의를 사실상 확인했다는 것은 일정한 성과"라고 진단했다.
한일 협력은 역사 문제와 퇴진 위기에 직면한 이시바 총리의 정권 유지에 달려 있다고 마이니치는 평가했다. 마이니치는 "일본 정부 내 일부에는 역사 문제가 다시 터질 것을 경계하는 시각이 있다"며 "지난해 니가타현 사도 광산 노동자 추도식이 한국 측 불참으로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고 설명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에 관세를 부과한 만큼 한일이 안보 협력 강화를 모색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