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오는 25일 베트남을 국빈 방문하는 가운데 원전을 주요 의제 중 하나로 다룰 전망이다. 이에 체코에서 원전 수주를 두고 격돌했던 한국과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재차 경쟁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마크롱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을 앞두고 약 30여 개 사안이 논의 중이며, 이 가운데 원전도 협상 테이블에 올라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양국 간 원전 관련 협상은 아직 합의에 이를 수준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오는 25일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하며, 27일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하고 30일 싱가포르에서 국제 안보 회의인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미국과는 이번 주 무역 협상과 함께 원자력 분야 논의가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러시아는 베트남과 지난 11일 베트남 첫 원전 건설 계약 협상과 체결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기로 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로이터 통신과 베트남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이 전한 바 있다.
한국의 경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지난 2023년 베트남원자력연구원과 원자력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달 16일에는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한국 기업의 베트남 원전, 고속철도 등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베트남 원전 사업에 있어 한국과 프랑스가 재차 경쟁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베트남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압박 이후 수출 중심의 경제 모델에서 탈피해 정부 지출 확대 중심의 성장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교통, 통신, 에너지 등 분야에서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최근 중국, 일본, 유럽 각국 정상들이 잇따라 동남아를 찾는 가운데 마크롱 대통령도 동남아 순방에 나서면서 공급망 재편과 무역 불확실성 속에서 동남아가 글로벌 전략 요충지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로이터 통신은 짚었다.
한편 프랑스전력공사(EDF)는 체코 원자력발전소 수주 경쟁에서 패배한 이후, 한수원의 계약 진행을 저지하기 위해 법적 대응에 나섰다. 체코 브르노 지방법원은 EDF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본안 소송이 마무리될 때까지 한수원과 체코전력공사 간의 최종 계약 서명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EDF는 입찰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문제 삼으며, 한수원이 고정가격 제시 등 비현실적 조건으로 불공정 경쟁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프랑스 매체 샬랑지는 EDF의 이의제기는 원전 시장의 강자인 프랑스의 국제적 위상과도 연결되는 일이라고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