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에 따르면 이번 합병은 비용 절감과 경영 효율성 제고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하려는 사업 구조 개선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합병 완료일 기준 넥스턴바이오는 소멸되며, 주권 매매 거래 정지 기간은 없다.
회사 관계자는 "넥스턴바이오는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의 100% 자회사로 2021년 4월 설립 이후 차세대 바이오·헬스케어, IT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를 이어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합병은 효율적인 경영관리와 비용 절감을 위한 결정으로, 차헬스케어·로스비보·클러쉬 등 주요 투자처에 대한 운영 효율을 높이고 기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스비보에는 2021년 5월 전략적 투자가 이뤄졌다. 이 회사는 miRNA 기술을 기반으로 당뇨 및 비만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최근에는 알엑스바이오와의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통해 해당 치료제의 사람 및 반려동물용 제품 개발을 본격화했다.
시장조사기관 이머전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은 2022년 약 20조원에서 2032년 약 42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7.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넥스턴바이오는 2024년 5월 에이온인베스트먼트를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전문기업 클러쉬에도 투자했다. 클러쉬는 같은 해 10월 네이버클라우드, 11월 피앤아이인베스트먼트로부터 연이어 투자를 유치했다. 현재는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에 PaaS 플랫폼을 공급·구축 중이며, 생성형 AI(GenAI) 사업에서도 AI 인프라 관리 솔루션으로 채택돼 금융권의 AI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4월 1일 '준법경영 선언문'을 통해 지속가능경영과 ESG 경영을 실천 기준으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회사는 이를 기반으로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과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이행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