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男-日女' 결혼, 10년 만에 최다…日언론 "한류·소득차 축소 탓"

  • '韓女·日男' 혼인, 10년 전보다 5분의1 수준으로 감소

  • 닛케이 "결혼 열기 유지 위해 안정된 한일 외교관계 필요"

사진연합뉴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사진=연합뉴스]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 결혼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그 배경에는 한류를 중심으로 한 문화적 친밀감과 양국 간 경제력 격차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3일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이 결혼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그 배경에 한류, 높아진 한국 경제력이 있다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서울 인근 도시에 거주하는 20대 일본 여성의 인터뷰를 인용해 “남편도 좋지만, 한국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강했다”며 한국 사회에 대한 동경이 결혼과 이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 혼인 건수는 1176건으로 전년 대비 40% 급증했다. 이는 지난 10년간 가장 많은 수치다.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의 결혼은 147건에 그쳐 10년 전보다 5분의1 수준으로 줄었다.
 
닛케이는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과 2024년을 비교하면, 한국인과 중국·필리핀·베트남 국적자와의 국제결혼은 감소한 반면, 일본인과의 결혼은 13% 증가했다고 짚었다.
 
한일 국제결혼의 양상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닛케이는 “1970∼1980년대에는 일본의 경제력과 농촌 일손 부족 등으로 한국인 여성이 일본인 남성과 결혼해 일본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1980∼1990년대에는 통일교 합동 결혼으로 한국으로 건너가는 일본인 여성이 늘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과 일본 간 경제 격차가 좁혀지면서 양상은 바뀌었다. 닛케이는 “한국에 관심을 가진 여성이 결혼을 위해 이주하는 사례가 증가한 것은 2010년대 중반 이후”라며 “그 사이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이 일본을 추월해 남성 급여는 동등해졌다”고 분석했다.
 
문화적 친숙함도 결혼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겨울연가’ 등 2000년대 초반 한류 붐을 경험한 세대가 자녀나 손자의 한국인과의 결혼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라는 것이다. 한 웨딩업체 관계자는 닛케이에 “결혼 전부터 한국 문화를 충분히 알고 있는 일본 여성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 사회에서도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지난해 한·일 커플의 연애와 결혼을 다룬 예능 프로그램 ‘한일 로맨스 혼전연애’가 방송되기도 했다.
 
한국학 연구자인 오이카와 히로에 홍익대 교수는 혼인을 계기로 한국에서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의 30∼40%는 한국에 대한 동경과 삶의 보람을 이유로 꼽는다고 분석했다.
 
다만 오이카와 교수는 한국에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일었던 2019년 당시 일본인 여성 95%가 불안감을 느꼈다면서 한국에 사는 일본인 여성들이 한일 관계가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을 늘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민간 외교의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는 결혼 열기를 유지하려면 안정된 정치·외교 관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