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 EU·멕시코 관세에도 강세...불확실성 해소에 '배드 이즈 굿'

  • 주요 교역국 관세율로 불확실성 해소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지난 주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시장은 이를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이며 오히려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배드 이즈 굿(악재가 호재)’ 장세를 보였다.
 
1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8.14포인트(0.20%) 오른 4만4549.6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81포인트(0.14%) 상승한 6268.56, 나스닥종합지수는 54.80포인트(0.27%) 오른 2만640.33에 장을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EU와 멕시코에 3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지난 12일 발표했다. 이는 철강과 구리 등 부문별 관세와 별도로 부과된다.
 
이같은 소식에 이날 아시아 시장에서 뉴욕증시의 주요 주가지수 선물은 0.5% 넘게 떨어지며 개장했으나, 뉴욕장이 열릴 때쯤에는 낙폭 대부분 회복하며 보합세로 돌아섰다.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가 기한이 8월까지 남은 만큼 실제로는 낮아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이날 보고서에서 “시장은 트럼프가 8월 1일 이전에 고율 관세에서 결국 물러나거나 단기적인 조정이 발생해도 그것은 매수 기회가 될 것으로 보는 것 같다”며 “시장이 이제 실적에 집중하게 되는 만큼 우리는 ‘전술적 강세’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관세 발표로 EU와 멕시코를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율이 대부분 발표된 만큼 오히려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보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시장은 이번 주부터 시작되는 2분기 미국 기업 실적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와 모건스탠리 등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으며 투자자들은 하반기 실적 전망에 더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1% 이상 떨어졌다. 의료건강과 소재, 기술도 약세를 보였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최근 가파르게 상승한 데 따른 피로감에 0.87% 하락했다. 30개 구성 종목 중 4개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시가총액 1조 달러(약 1383조원)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에선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이 하락했다. 애플은 1.2% 하락하며 시총 3조달러 레벨도 위태로운 상태다.
 
미국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4.96% 뛴 가운데 시총이 3375억달러에 달하며, 나스닥에서 11번째로 시총이 큰 기업이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