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오늘 오후 해병특검 출석…수사외압·VIP 격노 실체 규명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채수근 해병 상병 순직 사건 초동조사 당시 수사 외압을 폭로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16일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출석해 조사를 받는다.

순직해병특검팀은 이날 오후 1시 30분 박 대령이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박 대령을 상대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비롯해 초동조사 당시 군 수뇌부로부터의 수사 외압 정황, 사건 이첩 보류 및 회수 과정, 이후 군검찰의 표적수사 의혹 등에 대해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이번 조사는 ‘VIP 격노설’의 정점으로 지목되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 또는 영향력을 실질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사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박 대령은 2023년 7월 채 상병 순직 사건 발생 직후 해병대 수사단장으로서 초동조사를 직접 지휘했다. 당시 해병대 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을 포함한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로 특정했다. 그러나 같은 달 31일 열린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이후 군 수뇌부는 갑작스럽게 사건 이첩 보류 지시를 내렸고, 박 대령은 이를 외압으로 판단해 경찰에 사건을 이첩했다.

이후 박 대령은 항명 혐의로 군사재판에 넘겨졌지만, 올해 초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고, 특검이 항소를 취하하면서 무죄가 확정됐다. 그는 최근 해병대 수사단장직에 복귀해 군사경찰 병과장 보직도 다시 맡았다.

박 대령은 이 과정에서 ‘VIP 격노설’을 처음 공개한 인물로, 당시 대통령이 수사 결과에 분노하며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이 회의에서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느냐”며 격분했고,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전화해 조사 방향을 바꾸도록 했다는 진술이 박 대령에게 전달됐다는 주장이다.

당시 이 같은 내용을 박 대령에게 전달한 것으로 지목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포함해 회의 참석자들은 이를 부인해왔지만, 최근 특검 수사에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등 복수의 참석자들로부터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진술이 확보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박 대령은 전날 변호인을 통해 낸 입장문에서 “다시 군인으로서 제자리로 돌아가 주어진 직분에 충실하겠다”며 “특검에서 하나씩 사실을 밝혀나가고 있어, 멀지 않아 모든 진실이 드러나고 책임자들은 그에 상응하는 법적 책임을 질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