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대통령실은 두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제기됐을 당시 “인사청문회 경과를 지켜보겠다. 청문회에서 의혹이 해소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그러나 청문회 이후에도 각종 의혹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대통령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이 후보자의 경우 논문 표절 의혹에 더해 자녀 불법 조기유학과 직장 내 괴롭힘 의혹까지 불거졌다. 강 후보자 역시 ‘갑질’ 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추가 폭로로 거짓 해명 논란까지 확산되는 중이다.
문제는 친여권 성향의 단체들마저 이들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공교육을 책임지기에 자격이 부족한 이 후보자의 지명을 대통령이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비판했다.
여론이 싸늘해지자 여권 내부 분위기 역시 변화하고 있다. 당초 이들은 의혹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인선을 강행하려고 했지만, 최근에는 자진사퇴가 바람직하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들이 낙마할 경우 대통령실에 주어질 정치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앞서 대통령실은 오광수 민정수석 낙마 사태로 인사 검증 능력에 대한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따라서 장관 후보자가 연달아 낙마한다면 인사 검증 부실 문제가 재차 도마에 오르며 국정 동력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반대로 국민 여론을 외면한 채 임명을 강행할 경우 그에 따른 정치적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최근 복수의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60%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지지율의 배경에는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그러나 두 후보자의 인선이 강행된다면 ‘불통’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며 전임 정부와 차별성을 강조해 온 이 대통령의 강점이 훼손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두 후보자가 의혹을 해소하지 못할 경우 대통령실은 지명 철회보다 자진사퇴를 유도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지명을 철회할 경우 인사검증 부실 논란이 대통령실에 고스란히 돌아가며, 특히 임명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의 리더십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이유다.
정치평론가인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대통령실이 인사청문회를 통해 의혹이 해소되기를 기대했지만, 그러지 못하면서 딜레마에 놓이게 됐다”며 “두 후보자의 임명을 강행할 수도 있겠지만 그럴 경우 국민주권 정부라는 대원칙에 어긋나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혹이 끝내 해소되지 못한다면,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을 덜기 위해 이들에게 곧 자진사퇴라는 신호를 보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