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지난달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총 7698억 원을 투입한다.
이 가운데 5275억 원을 국비로 확보하며, 지방재정 부담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중장기적 재해예방 인프라 투자로 연결시켰다는 평가다.
이번 복구비는 공공시설과 사유시설 피해 복구를 넘어, 하천 제방 확충 등 구조적 개선이 포함된 ‘개선복구사업’에 2930억 원이 배정된 것이 특징이다. 기존 기능복원 방식이 단기적 피해 보전에 그쳤다면, 이번에는 반복 피해를 줄이는 예방 효과까지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사유시설 지원에도 재정적 안전망을 강화했다. 정부 지원 834억 원 외에 도 자체 특별지원금 232억 원을 더해 총 1066억 원 규모를 마련, 주택 전파·반파 가구와 침수 소상공인에 대해 최대 1억 원 이상 직접 지원을 보장했다.
충남도는 사업 규모별로 연내 완료(소규모), 내년 우기 전 공정 마무리(중규모), 2028년 상반기 준공(대규모 개선복구) 등 단계적 로드맵을 설정했다. 이로써 향후 도내 건설·복구 관련 산업에도 수천억 원대 재정 집행 효과가 파급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국비 확보와 개선복구 전환은 단순한 복구 차원을 넘어 미래 재난 리스크를 줄이는 투자”라며 “재정 운용 효과와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함께 거둘 수 있도록 조기 집행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