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트럼프 2기 국제정세 속 서울 경제·산업 대응전략 모색

  • "관세 파고 속 서울경제 타격 우려… 서비스업 보호와 긴급지원 체계 필요"

서울연구원 정책포럼 포스터
서울연구원 정책포럼 포스터.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2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A에서 ‘트럼프 2기 이후 세계 정세 변화와 서울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2025년 제3회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촉발된 보호무역 기조 강화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서울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오균 서울연구원장은 개회사에서 “글로벌 정세 변화에 따라 서울의 경제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며 “서비스업 중심 구조 속에서의 대외 충격 완화와 긴급 대응 시스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의회 임춘대 기획경제위원장도 축사를 통해 “지방정부 차원의 능동적인 정책 대응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서울연구원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섰다.
첫 발표자로 나선 강구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미유럽팀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정책은 1기와 마찬가지로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관세 중심 정책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대미 주력 수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확보하기 위해 산업·투자 협력안을 협상 카드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박성근 산업연구원 산업구조·정책효과분석실장은 “제조업 수출 감소는 대기업 실적 악화로 이어지고, 이는 서비스업 중심의 서울경제에 간접 타격을 줄 수 있다”며, “고용 안전망 강화와 상시적 파급효과 모니터링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박희석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서울시 내 수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관세 리스크에 취약하다”며 “서울시 차원의 맞춤형 긴급지원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서강대 이윤수 교수가 좌장을 맡아 서울연구원 김진하 단장, 명지대 오지윤 교수, 동덕여대 정호성 교수 등이 참여해 현장성과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서울연구원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에 대응하는 서울시 차원의 중장기 전략 수립과 전문가 네트워크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