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설치하려는 기후에너지부, 반드시 나주에 와야 한다.”
나주시가 기후 위기에 잘 대응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후에너지부를 나주로 유치하는 것"이라고 그 당위성을 전국에 알렸다.
지난 22일 나주 빛가람동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기후테크 미래 혁신포럼’에서다.
강상구 나주부시장은 포럼에서 기후 위기와 지방 소멸, 에너지 전환이라는 복합적 위기에 대한 국가적 해법으로 ‘나주’를 내세웠다.
그는 “기후위기는 매뉴얼을 따질 여유가 없는 쓰나미와 같다”면서 “지방에 단비가 아닌 그치지 않는 '인센티브 폭탄'이 필요한데 그 첫 단추가 바로 기후에너지부 나주 유치”라고 역설했다.
이어 나주가 기후에너지부 최적지인 이유를 설명했다.
먼저 “나주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있고 기후에너지부가 오게 된다면 많은 에너지 기업들과 연계해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또 “영산강과 저지대 밀집지역으로 예전보다 늘어난 기후 재난에 대한 실증과 대응 역량을 갖췄다”고 주장했다.
강 부시장은 “나주는 에너지산업 전주기 생태계 보유 한전 본사를 중심으로 KDN, 전력연구원, 337개 에너지 기업이 입지한 에너지밸리로 이미 기반 시설을 갖췄다”면서 “실증-산업화를 연결하는 전주기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AI와 데이터 기반 융합 가능성이 뛰어나고 에너지와 데이터를 융합한 ‘에너지 데이터 허브’의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에너지공대는 1000명 규모의 학부와 대학원 체계를 갖췄고 전남대와 동신대, 목포대와 에너지융합 실증 협력도 활발해 나주는 실증 중심 정책을 위한 최적의 장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나주시는 현재 기후에너지부를 유치하기 위해 청사 확보와 유치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단기와 중기전략으로 민간 공실 상가 활용 방법을 세우고 공공연구시설 일부를 전환해 장기적으로는 혁신도시에 전용 청사를 신축하는 것이다.
이어 내년부터 2027년까지 특별법을 제정하고 규제자유특구 지정, 예산과 정원 협의를 병행할 계획이다.
강 부시장은 “기후에너지부 유치 필요성과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알리고 범국가적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