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 우려 심화" 中 제조업 경기 넉달째 위축

  • 7월 제조업 PMI 49.3…예상치 밑돌아

  • 통계국 "제조업 비수기, 자연재해 영향"

  • 디플레 속 출혈경쟁…신규 주문·수출 ↓

  • 習 "산업 과잉생산 문제 해결" 강조


중국 제조업 경기가 넉달째 위축세를 이어가며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하락)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49.7)보다  0.4%포인트(P) 하락한 49.3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앞서 전달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한 로이터 전망치(49.7)를 하회한 것이다. 

이로써 중국 제조업 PMI는 4월(49.0), 5월(49.5), 6월(49.7)에 이어 넉달째 위축세를 이어갔다.  PMI는 중국 제조업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을,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중국 제조업 PMI 동향 자료중국 국가통계국
중국 제조업 PMI 동향 [자료=중국 국가통계국]

자오칭허 국가통계국 고급통계사는 이날 "제조업이 전통적인 비수기에 돌입한 데다가,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고온·폭우·홍수 등 재해 영향으로 제조업 PMI가 소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PMI의 하위 항목인 신규 주문지수가 6월 50.2에서 7월 49.4로, 신규 수출주문 지수도 6월 47.7에서 7월 47.1로 하락했다.  

다만 생산 및 경영 활동기대지수도 전달 대비 0.6%P 상승한 52.6을 기록했다. 중국 제조업체들이 향후 중국 경제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줬다.

업종별로는 장비제조, 하이테크 제조업 PMI이 각각 50.3, 50.6으로 확장세를 이어갔다. 

미국과 중국이 5월 관세 전쟁 휴전에 합의하면서 관세는 낮아졌음에도, 중국 경제는 부동산 장기 불황과 디플레 압박이 이어지면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모습이다. 

특히 디플레 심화로 중국 각 업종마다 가격 출혈 경쟁이 심화되며 제조업 수익성도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공산당은 3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주재로 중앙정치국 회의를 열고 하반기 중국 경제 회복을 위해 거시 정책과 내수 진작의 강도를 높여야 하고, 산업 과잉생산 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거듭 주문했다. 특히 무질서한 기업 간 저가 경쟁 단속, 중점 산업 분야 과잉생산 관리를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한편 이날 함께 발표된 비제조업(서비스업) 지표도 전망치를 밑돌았다. 중국의 7월 비제조업 PMI는 50.1을 기록하며 전달치(50.5)과 비슷할 것이란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