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 5인 "윤 대통령 화냈다" 진술…'기록 회수 관여' 이시원 전 비서관, 특검 출석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2023년 7월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했던 핵심 인사 5명이 모두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를 인정하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격노 직후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방향이 바뀐 정황에 주목하며, 윤 전 대통령 부부의 비화폰 통신기록 확보에 나섰다.
 
정민영 순직해병 특검보는 31일 정례브리핑에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에 대한 조사를 지난 금요일(26일) 마쳤다”며 “당시 회의 참석자 7명 중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제외한 국가안보실 소속 5인에 대한 조사는 완료됐다”고 밝혔다.
 
특검에 소환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조태용 전 국정원장,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임기훈 전 비서관은 모두 회의 당시 윤 전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는 점을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해당 회의의 실체를 부인해온 김용현 전 장관의 기존 주장과 배치된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한 직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혐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수사기록 이첩이 번복된 과정에서 구체적인 외압이 있었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검은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비롯해 주요 당사자 21명의 비화폰 통신 기록을 국군지휘통신사령부와 대통령경호처로부터 확보 중이다. 일반 휴대전화 기록에 더해 비화폰 통화내역을 분석해 수·발신 시점과 대상자 관계를 추적할 방침이다.
 
한편, 이날 특검은 해병대 초동 수사기록 회수 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이 전 비서관은 지난해 8월 2일 채상병 사건 기록이 경찰에 이첩되자 국방부 관계자들과 수차례 연락하며 회수 작업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다. 박모 총경 등 관련자들은 "이 전 비서관이 기록 반환 검토를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조사는 특검이 확보한 이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 참관 절차도 함께 진행한다. 특검은 대통령실이 기록 회수 과정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윤 전 대통령의 구체적 지시가 있었는지를 집중 조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