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8월 4일자)

  •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8월 4일자)

지난달 31일 한·미 관세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지만 농축산물과 디지털 분야를 둘러싼 다양한 ‘비관세 장벽’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 과제로 남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와 관련해 추가 압박에 나설 가능성이 여전한 만큼 향후 통상 환경에 불확실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번 한·미 협상에서 양측은 과채류 등 농산물 검역 절차와 관련한 기술 협의를 강화하기로 했다. 문제는 이 같은 ‘검역 절차 개선’이 사실상 미국 농산물 수입 확대를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해석이 제기되면서 농업계를 중심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농산물 수입 검역은 국제식물보호 협약(IPPC)에 따라 병해충 위험 평가 등 8단계 절차를 거치게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식물방역법으로 농산물 수입 검역 절차를 정하고 있어 일부 단계를 생략하거나 간소화할 수 없다. 대표적인 사례인 미국산 사과는 미국이 30년 가까이 수입을 요구해왔지만 아직 2단계 IRA(수입위해분석)만 통과했을 뿐 3단계 이상으로는 진입하지 못한 상태다. 쌀 시장 개방 여부를 둘러싼 혼선도 여전하다. 특히 이번 협상에서 제외된 온라인 플랫폼법 제정, 구글 정밀지도 반출 허용 여부 등 디지털 분야 이슈도 불씨로 남아 있다. 특히 구글은 지난 2월 9년 만에 한국 정부에 1대5000 정밀지도 데이터에 대해 해외 반출을 재요청한 바 있어 향후 미국 측이 통상 압박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도 커진다. 관련 논의는 조만간 추진될 예정인 한·미 정상회담에서 본격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19면
아주경제 19면
조선일보 1면
조선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매일경제 1면
매일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7월 16일자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8월 4일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