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전반에 안전관리 리스크가 불거지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반복되고 있는 사망사고에 이재명 대통령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강도 높게 질타하면서 건설사를 향한 철퇴가 예고되고 있어서다. 건설업 관련 17개 단체 연합체인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건단련)는 전날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단체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대책 회의를 열어 건설현장 중대재해 근절 및 건설현장 안전 확보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건설 등 산업 현장 중대재해 사고에 대해 “후진적 사고를 영구적으로 추방해야 한다”며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에 대한 제재 검토 등을 지시한 바 있다. 대통령 발언 이후 건설사들도 안전관리체계와 현장 점검에 분주하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내부 회의를 개최하고 현장 점검과 안전 관리 매뉴얼 등에 대해 논의했다. 현대건설은 전국 현장에서 기존에 구축한 ‘재해 예측 인공지능(AI) 시스템’ 등 스마트 건설 안전 시스템과 매뉴얼, 사고 시 대응 방안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현장 확인을 강화했다. 대우건설 역시 김보현 대표이사가 내부에 현장 안전 관리를 재차 당부하는 담화문을 발표하고 매뉴얼 점검을 진행했다. 업계에서는 안전관리체계를 재점검하면서도 국무회의에서 징벌적 손해배상과 공공입찰 참여 제한, 영업정지 등이 거론된 데 대해 우려하고 있다. 대통령이 강도 높게 질타한 이후 엿새 만인 지난 4일 포스코이앤씨 공사 현장에서 30대 외국인 근로자가 감전 추정 사고가 발생하면서 업계는 ‘좌불안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