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공무원의 반복적인 행정업무를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대체하는 행정 지원 체계 ‘챗봇 2.0’ 사업에 착수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공무원이 문서를 찾거나 규정을 확인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까지 AI가 도와주는 ‘AI 비서’ 시스템을 도입하는 게 핵심이다.
시는 올해 자체 초거대 언어모델(LLM)을 시청 내부망에 설치하고 일부 부서에서 시범 적용한 뒤 내년부터 행정 시스템과 연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LM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학습된 딥러닝 기반의 언어 처리 AI를 말한다.
이번 사업은 서울시 자체 LLM을 내부망에 직접 도입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민감한 공공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독립적 인프라를 바탕으로 행정 수요에 최적화된 실용적인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그동안 시민용 챗봇 ‘서울톡’과 직원용 업무 챗봇을 운영해왓지만 정해진 질문에만 답하는 방식이라 유연한 대화나 복잡한 업무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시는 챗봇 2.0이 도입되면 문서 작성, 규정 조회, 질의응답 등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AI가 대체하면서 행정 효율성과 속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민 대상 서비스도 발전한다. 5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서울톡’에도 생성형 AI 기능이 시범 적용된다. 기존에는 정해진 시나리오만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서울시 누리집의 보도자료나 새소식 등을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답변을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강옥현 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챗봇 2.0 도입을 시작으로 공무원은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시민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응답받는 새로운 행정 서비스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며 “공공행정 전반에 AI를 적극 활용하여 국내를 넘어 ‘글로벌 AI 행정도시’로 거듭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