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6명, 건강정보이해능력 '적절' 수준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자료질병관리청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자료=질병관리청]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6명은 ‘적절’ 수준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국민의 건강정보 이해 및 활용 수준을 평가하고 건강정보 이해력이 낮은 취약집단을 파악한 결과를 한국역학회 학술지 에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건강정보 또는 서비스를 찾고 이해하며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건강 결정요인 중 핵심적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질병청은 그간 부재했던 국가 단위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모니터링 및 근거 마련을 위해 2022년에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개발했다.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도입해 성인을 대상으로 첫 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590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60.4%가 ‘적절’ 수준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했다.

영역별로는 의사, 약사의 설명이나 환자용 교육자료를 이해하는 건강관리 영역에서 가장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질병예방이나 얻은 정보를 판단하고 활용하는 자원활용 영역 이해도는 낮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는 여자(62.2%)가 남자(58.6%) 보다 높았다. 20대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70.5%로 70세 이상(36.0%)에 비해 약 2배 높았다. 또한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행태 특성별로는 비흡연, 충분한 신체활동, 건강검진 참여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사람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고령자나 교육수준이 낮은 건강정보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건강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건강정보포털 개편 및 맞춤형 건강정보 개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