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CC 설립 20주년 맞아 '2025 APEC 기후심포지엄' 개최

  • 기후변화의 복합성, 아태 협력으로 대응 해법 모색

 
기상청 장동언 청장 사진 앞줄 오른쪽에서 여덟 번째과 APCC 김형진 원장직무대행오른쪽에서 일곱 번째전임 APCC 원장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사진APCC
기상청 장동언 청장 (사진 앞줄 오른쪽에서 여덟 번째)과 APCC 김형진 원장직무대행(오른쪽에서 일곱 번째),전임 APCC 원장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사진=APCC]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APCC)가 설립 20주년을 맞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후 협력을 논의하는 국제 심포지엄을 열었다.

APCC는 기상청, 부산시와 공동으로 7일과 8일 양일간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2025 APEC 기후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APEC 지역의 기후난제: 기후변화의 복합성과 대응 방향 모색’을 주제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과학적 분석과 국제 협력의 필요성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APEC 21개 회원국의 정부 관계자, 기상·기후 분야 연구자 등 약 150명이 참석했다.

기조연설과 세션 발표, 패널토론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적 접근과 사회·경제적 적응 방안 등이 논의됐다.

7일 개회식에서는 김형진 APCC 원장직무대행을 비롯해 장동언 기상청장,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 등이 환영사를 전했다.

이어 에두아도르 페드로사 APEC 사무총장과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호영 국회 환노위원장, 김희정 국회의원, 이회성 전 IPCC 의장이 영상 축사를 통해 심포지엄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APCC의 20년간 성과가 소개됐고, 향후 비전이 담긴 선언문도 발표됐다.

기후 분야 세계적 석학인 짐 스키 IPCC 의장은 영상 발표를 통해 기후 난제에 대한 과학·사회적 관점의 통합적 이해를 제안했으며, IBS 기후물리연구센터장 악셀 티머만은 아태 지역 기후 전망과 영향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세션1에서는 빅데이터와 AI 기반의 기후예측 기술, 극한기상 분석, 장기예측모델의 활용 방안 등 과학 기반 정책 수립을 위한 최신 기술이 소개됐다.

8일에는 차지호 국회 기후위기특위 위원의 인사말로 세션2가 시작됐다.

이 세션에서는 농업, 재난, 보건 등 분야별 기후 적응 전략이 제시됐으며, AI를 활용한 혁신적 대응 방식과 국제 협력 사례들이 소개됐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아태지역 기후정보 생산자-사용자 간 연계 방안, 민관학 협력 체계 강화, 통합적 대응 전략 구축 필요성 등이 집중 논의됐다.

김형진 APCC 원장직무대행은 “지난 20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아태지역 기후 문제 해결과 회복력 있는 사회 구축을 위해 국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APEC 기후심포지엄은 매년 APEC 정상회의 개최국에서 열리는 공식 국제학술행사로, 올해는 한국 경주시에서 APEC 정상회의가 예정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