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진 성남시장 "서강대 캠퍼스 미래 첨단산업 이끌 핵심 거점 될 것"

  • 서강대 판교디지털혁신캠퍼스 개소로 첨단산업 인재허브 도약

  • 수정구 소재 위든타워 내 3~6층, 약 1만280㎡ 규모로 조성

  •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인력 체계적으로 길러내

사진성남시
신상진 시장이 서강대학교 판교디지털혁신캠퍼스 개소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성남시]


신상진 경기 성남시장이 13일 “서강대학교 판교디지털혁신캠퍼스가 미래 첨단산업을 견인 할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시장은 ​서강대가 서울을 넘어 성남 판교에 혁신 거점을 마련한 것을 환영하며, 이 같은 입장을 내놨다.
 
이날 오후 신 시장은 제2판교테크노밸리 위든타워에서 열린 서강대학교 판교디지털혁신캠퍼스 개소식에 참석해 첨단산업 기반 산학협력 생태계 조성과 전문 인재 양성에 힘쓸 것을 약속했다.
 
서강대 판교디지털혁신캠퍼스는 수정구에 소재한 위든타워 내 3~6층, 약 1만280㎡ 규모로 조성됐다.

 
제2판교테크노밸리 내 핵심 입지에 자리해 시스템반도체와 인공지능(AI) 분야의 연구·교육·창업 기능이 결합된 복합 산학연 허브로 운영된다고 신 시장은 귀띔했다. 
 

사진성남시
[사진=성남시]


산학공동연구소, 계약학과, 창업지원단 등을 중심으로 실무형 교육과 공동 연구를 추진하며,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길러내게 된다.
 
입주 대상 시설은 스타트업기업, 엑셀러레이터, 팹리스산업협회 등이 사용하는 스타트업 공간(3·5·6층), 중소벤처기업 지원 공간·스타트업 라운지·코워킹 존 등으로 구성된 산학교육시설(4층), 학교·기업 연구소와 관련 스타트업이 참여하는 ICC산학공동연구센터가 들어서는 산학공동연구실(5층)이다.
 
신 시장은 이번 캠퍼스를 거점으로 지난달부터 서강대와 ‘글로벌 반도체설계 전문가 과정’을 운영하며 현장 중심의 교육으로 반도체 설계 전문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성남시
[사진=성남시]


이와 함께 판교 KAIST AI 교육연구시설, 성균관대 팹리스 AI 연구센터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을 유치하고,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 개소와 팹리스 얼라이언스 운영 등 정책을 통해 4차 산업혁명 기반의 핵심 기술도시로 비상하고 있다.
 
한편 신 시장은 “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과 산·학·연 협력을 적극 지원해 성남을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혁신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