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군과 국가보훈부는 12일부터 16일까지 임시정부 비행학교 관계자들의 후손들을 공식 초청했다고 13일 전했다.
행사에는 △비행학교 설립을 주도했던 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 장군 △비행학교에 막대한 자금을 지원한 김종림 지사 △비행학교의 재무와 운영을 맡았던 이재수 지사 △한인 비행사 오임하, 이용선, 이초, 장병훈, 한장호, 박희성 지사 등 9인의 항공독립운동가 후손과 가족 20여명이 초청됐다.
'윌로우스(Willows) 비행학교'로도 불려온 임시정부 비행학교는 1919년 3·1운동 이후 임시정부와 재미 한인사회의 노력으로 1920년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의 소도시 윌로우스에 설립됐다.
후손들은 12일 선조들이 안장돼 있는 대전현충원 참배로 공식일정을 시작했다. 이후 공군 정예장교를 양성하는 공군사관학교를 찾아 교육·훈련체계에 대해 설명을 듣고, 교내 시설들을 둘러봤다.
13일에는 후손들이 공군의 고등비행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제1전투비행단에서 부대 현황을 소개받고, 학생조종사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광복절 당일인 15일 오전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한다.
박희성 지사의 조카손녀인 임인자 선생은 "해외에서 대한민국 공군의 발전상과 활약상을 접할 때마다 기쁨과 긍지를 느꼈다"며 "공군의 공식 초청으로 공군사관학교, 전투비행단의 면면을 직접 보고 들으니 더욱 감개무량하다"고 밝혔다.
김권희 공군본부 정훈실장(대령)은 "조국 광복을 위해 분투했던 임시정부 비행학교 항공선각자들의 정신은 지금도 대한민국 공군 장병들의 가슴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다"며 "후손들에게 오늘날 대한민국 공군의 발전된 모습과 강력한 위용을 보여드릴 수 있게되어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