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8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으나, 정책 효과 등으로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향후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그린북에서 올들어 지난달까지 줄곧 '경기 하방압력'을 언급했다. 다만 지난달에는 소비심리가 개선되고 있다며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고 이달 그린북에서는 더 낙관적인 판단인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10.8로 전월대비 2.1포인트 올랐다. 2021년 6월(111.1) 이후 4년1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달 수출은 관세 불확실성에도 반도체 업황 호조 등에 힘입어 전년동월대비 5.9% 증가했다. 올 6월 전산업 생산도 자동차·반도체 등의 호조세로 전달보다 1.2% 상승하며 3개월 만에 반등했다. 다만 같은 기간 설비투자는 3.7% 감소하며 4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정부는 이달 그린북에서 글로벌 경제와 관련해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향후 경제 운용 방향에 대해서는 "추경을 신속히 집행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비·지역경제 등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