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의사 10년간 41% 줄어…"농어촌 의료 접근성 악화"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보건소와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의사 수가 10년 만에 40%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보건복지부 '보건소 및 보건지소 운영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보건소·보건지소·보건진료소에 근무한 의사(소장 포함, 한의사·치과의사 제외)는 1400명이었다. 이는 2014년 2386명과 비교해 41.3% 감소한 수준이다. 2023년(1,660명)보다도 15.7%가 줄었다.

보건소 근무 의사는 2014년 962명에서 지난해 627명으로 34.8% 급감했다. 같은 기간 보건지소·보건진료소 근무 의사는 1424명에서 지난해 773명으로 45.7% 줄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공공 의료기관 의존도가 높은 농어촌 지역 주민의 의료 접근성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건소·지소 의사 수 감소는 민간에 비해 낮은 연봉·처우, 열악한 정주 여건 등에 따른 기피 현상과 공중보건의사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중보건의사는 의사·치과의사·한의사 자격이 있는 남성이 현역병으로 입대하는 대신 3년간 지역 보건의료 의사로 복무하는 제도다.

보건소 인력 구성 현황(보건지소·진료소 제외)을 보면,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공중보건의는 2014년 955명에서 지난해 677명으로 29.1% 줄었다. 특히 의사 공중보건의가 525명에서 239명으로 큰 폭(54.5%)으로 감소했습.

치과의사 공중보건의는 184명에서 257명으로 39.7% 늘었다. 한의사 공중보건의는 246명에서 181명으로 26.4% 감소했다.

의대 입학생 중 여학생 비율 증가, 의대 재학생의 현역병 지원 증가 등의 영향으로 공중보건의 숫자가 계속 줄고 있다. 복지부는 국방부·병무청 등 관계부처와 공중보건의 복무기간 단축, 급여체계 개선 등을 협의하고 있다.

점진적으로 단축돼 온 육군 현역병 복무 기간(1년 6개월)에 비해 공중보건의 복무 기간(3년)이 너무 길어 의대생들의 현역 지원이 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